A Study on the Content Innovation of Home Economics Curricula Reflected in Social Change & Need

사회변화와 요구를 수용하는 가정교과의 내용 혁신 연구

  • Park Myung-He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College of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As our current society is increasingly demanding a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that projects the recent changes around us, in this study we hope to present which fundamental materials would be need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o satisfy the needs of learners in schools and to Provide actual practice and information crucial to live in the future society. A reform of the present Home Economics regime is needed, and as a result of critical analysis on the subject we found that it did not portray the plurality of family relations and cultures owing to the sudden changes in society, nor did it present an active curriculum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s. This was partly because of the matter of establishing a proper academic ident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matter of specializing curriculums and general methods of applying them, the academic conservatism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and ineffectiveness of teacher reeducation as well as a lack of leadership on the part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The objective and content structur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be reformed to adjust to the current society by taking an approach focused on family and the consumer. In the family part, curriculums should include the formations of various family structures and home cultures to portray a more open concept of family, which should promote gender equality in matters of child upbringing and housework. From a humanitive perspective, Home Education should he dealing with the mediation and decision-making of individuals caught between social advancement and household functions.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choosing and deciding, and furthermore their participation in their living communities which may present more material basis of critical scientific philosophies to be discussed in class. Additional themes such as sustainable consumption for earth environment and resource preservation and ways of application to rebuild our diminishing society must also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We should look to find a more integrated approach to Home Economics Education rather than the present field based and specialized regime.

본 연구는 가정교과의 내용요소에 대한 교육수요자들의 시각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수요자가 추구하는 요구에 부응하면서 미래사회에서 인간이 살아가는데 진정으로 배워야 할 내용이 무엇인가를 원론적 차원에서 고찰하여 가정교과의 내용혁신을 시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현재 가정교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를 시도한 결과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른 다원화된 가족의 구성과 가족문화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능동적 교과내용 도입이 지체되고 있었는데 그 원인은 가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에대한 문제와 교육내용의 전문성과 통합적 접근의 문제, 가정학의 학문적 보수성 그리고 교사재교육의 비실효성과 행정 정책가의 리더십 부족 등이었다. 가정교과의 내용혁신을 위한 사회적 합의로서 가정교과의 목표 및 내용체계는 가족과 소비자를 중심축으로 하여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가족부분에서는 다양한 가족의 구성 체계와 다원적 문화를 포용하는 열린 가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자녀양육이나 가사노동에 있어 양성 평등적이어야 한다. 성인지적 관점에서 개인의 사회진출부분과 가정생활기능의 사회화에서 일어날 수 있는 조정역할과 의사결정부분에 대한 가치교육, 선택과 의사결정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 생활공동체의 참여, 복지기관에의 자원봉사와 같은 내용에 더 중점을 두어 이러한 주제를 비판 과학적 철학에 바탕을 두고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지구환경자원의 보존을 위한 지속가능 소비와 이의 실천등과 같은 사회재건 중심 교육과정 관점이 도입된 내용이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가정교과의 영역별 전문분야별 접근보다는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