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Sangshik products and their raw materials far the purpose of ensuring safety of those products in market, and establishing microbial regulatory standard. From 2002 to 2004, a total of 191 Sangshik products were purchased from market or mail-order sales, and major foodborne pathogens; E. coli, Salmonell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r jejuni, Yersinia enterocolitica, E. coli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tested. B. cereus, C. perfringens and E. coli were detected from 29 samples (15.2%), 21 samples (11.0%) and 1 sample (0.5%), respectively. But other tested bacteria were not detec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contamination source, 53 Sangshik ingredients were collected from 9 different manufacture factories. The results were similar with the Sangshik products. Aerobic plate counts were ranging from $1.0X10^3cfu/g\;to\;1.5X10^8cfu/g$. B. cereus was detected from 13 samples (24.5%), and counted as less than 100 cfu/g. C. perfringens were detected from 2 samples (3.8%), and counted as less than 100 cfu/g. Other foodborne pathogens were not detected except for B. cereus and C. perfringens. From th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potential of microbial hazard by Sangshik was relatively low. However, it would be suggested that hygienic management and controling be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growing contaminated pathogens and cross contamination during process and sale due to improper storage and management.
최근 생식제품에 대한 국민 선호도가 높아지고 판매량이 증가됨에 따라 안전하고 위생적인 생식의 유통을 유도하고, 위생 강화를 위한 미생물 규격 제정의 기초연구를 위하여 시판 생식 및 원재료에 대한 식중독균 분포실태를 조사하였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 인천, 부산 등 전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대형마트 및 통신판매에서 시판 중인 생식제품 191건을 구입하여 주요 식중 독균인 E. coli, Salmonell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Campylobactey jejuni, Yersinia enterocolitica, E. coli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B. cereus는 29건(15.2%), C. perfringens는 21건(11.0%), E. coli는 1건(0.5%)에서 검출되었으나 그 외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정량적 평가 결과 일반세균수는 $1.2X10^3cfu/g{\sim}1.6X10^9cfu/g$, B. cereus는 100 cfu/g 이하${\sim}11X10^3cfu/g$, C. perfringens는 100 cfu/g 이하${\sim}2.2x10^3cfu/g$의 분포를 보였다. 생식의 미생물 오염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9개 생식제조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미, 당근, 율무, 옥수수 등 53건의 원재료에 대한 미생물 분포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수는 $1.0X10^3cfu/g{\sim}1.5X10^8cfu/g$의 분포를 보였고, B. cereus는 13건(24.5%)에서 검출되었는데 11건(84.6%)이 100 cfu/g 이하이었다. C. perfringens는 2건(3.8%)에서 검출되었는데 모두 100 cfu/g 이하의 낮은 균수를 보였다. 생식 완제품과 같이 E. coli, Salmonella, S. aureus 등 8종의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유통 생식은 일반적으로 식중독균에 의한 위해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제조과정 및 유통과정 중 부적절한 보관 및 유통에서 기인될 수 있는 오염균의 증식이나 교차오염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는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