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Use of Computer Games among Bo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실업계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컴퓨터 게임 이용 실태 분석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use of computer games relating their scholastic achievements and behavior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boy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analysis based on the location of schools turned out to be meaningful because computer games seemed to deteriorate urban students' school grades more than those of the rural students. However, another analysis based on types of schools such as agricultural, technical, and commercial schools did no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GPA(Grade Point Average). It was analyzed that such items in the given questionnaire as whether or not computer games made them less attentive to their classes, whether or not games made them put off their stud? and work, and whether or not they played computer games even during their exam periods had no meaningful results. Besides, it seemed that there was no connection between how well one plays computer games and how well he or she does at school work did not seem to be correlated. In short, most of the subjects seemed to enjoy computer games regardless of their scholastic achievements.

본 논문에서는 충북지역 실업계 고등학교 남학생 1, 2학년 중에서 게임을 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 집단별, 학교 유형별, 학교 소재지별로 구분하여 컴퓨터 게임 이용 실태를 학업 성적과 생활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학교 소재지(도시 농촌)별로 성적 하락에 있어서 도시 학생들이 농촌 학생들보다 컴퓨터 게임으로 인하여 성적이 하락하는 현상이 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농업고, 공업고, 상업고 별로는 평균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게임이 수업 시간에 집중력을 떨어지게 한다는 것, 공부나 일을 미루는지에 대한 여부, 시험기간 중 컴퓨터 게임의 수행 여부 등에서는 크게 영향을 푸지 않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성적에 상관없이 많은 학생들이 컴퓨터 게임을 즐기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