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기 및 비강우기 경안천 수체흐름에 의한 팔당호 수질변동 비교 평가

Water Quality Fluctuation Study of Paldang Reservoir Affected by Gyeongan Stream Inflow according to Rainfall

  • 발행 : 2006.06.30

초록

경안천 유입부(G 1)부터 팔당댐 앞 (P)까지의 2002년도 수질변동을 팔당호 전체 수질분포및 강우시기 등과 연동하여 평가하였다. 연평균 COD, 총인 및 총질소 농도는 경안천 유입부에서 댐 쪽으로 갈수록 농도가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경안천 유입하천의 높은 오염도가 직접 댐 앞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시기 및 지점별 COD, 총인 및 총질소 농도는 강우기 (8, 9월)가 다른 조사시기에 비해 지점 간 차이가 적고, 초기농도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클로로필 a 농도는 강우기 이후(10 ${\sim}$ 12월)보다는 이전(3${\sim}$6월)에 각 지점별 농도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팔당호 전체 수질분포에서, 북한강 유입수역 수온은 다른 수역에 비해 8월은 낮고 11월에는 높게 나타났다. COD와 SS농도는 강우기에는 각 수역별로 비교적 큰 농도차이를 보였으나 11월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농도도 낮았다. 4월 높았던 클로로필 a 농도는 강우기에는 현저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다. 4월에는 비교적 수심이 낮은 경안천 유입수역에서도 8월 및 11월에 비해 표층과 심층간의 수온 차가 크게 나타났다. 댐 앞 지점 SS농도는 4월에 표층에서 높고 8월에는 심층에서 높았다. 또한 COD, 총인, 총질소 농도는 8월이 4월에 비해 상 ${\cdot}$ 하층이 비교적 잘 혼합되고, 현저하게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11월에도 낮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팔당호에서 수질관리에 집중해야 될 시기는 여름가을보다는 봄여름기간 중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Water quality fluctuation of Gyeongan water area in Paldang reservoir, which measured from the downstream sampling point of Gyeongan stream (G1) to dam sampling point (P), was examined in the light of seasonal rainfall and regional difference in the year of 2002. Annual COD, T-P and T-N concentration dropped conspicuously at the point P (in front of dam) although concentration of Gl point was high. Concentration variation of COD, T-P and T-N from Gl to P point in Gyeongan area was small in August and September. And at G l point showed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Chlorophyll-a concentration varies less during the autumn season (October to December) than spring season (March to June). Water temperature of Bughangang (north Han-river) area was relatively lower in August and higher in November compared with that of other areas. COD and SS concentration showed big regional difference except in November when the concentrations of which were relatively low. The high Chlorophyll-a concentration of April fell conspicuously in rainy season. Gyeongan area, where the water depth is relatively shallow, indicated steep temperature gradient in April compared with that in August or November. High 55 concentration in April at P point characterized surface layer while the opposite was recorded in August. Mixing of upper and lower layers had taken place causing dilution of COD, T-N and T-P concentration in August. This condition was maintained throughout November. Therefore, spring-summer seasons needed more attention for water management countermeasure than summer-autumn seas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공동수. 1992. 팔당호의 육수생태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 김종민, 허성남, 노혜란, 양희정, 정완종, 임연택. 2002a. 팔당호 수질의 계절별 변화특성 및 장기추세. 한국물환경학회지 18(1): 67-76
  3. 김종민, 허성남, 양희정, 정완종, 황정, 이인선, 김무영. 2002b. 호소형 및 하천형 호수의 유기물 거동특성 비교연구 (I). 국림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18p
  4. 김종민, 허성남, 양희정, 노혜란, 한명수. 2003. 호소형 및 하천 형 댐호의 육수학적 특성과 조류발생과의 상관관계, 육수지 36(2): 124-138
  5. 김종민, 노혜란, 허성남, 양희정, 박준대. 2005. 강우 및 유입하 천수가 팔당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1(3): 277-283
  6. 류홍일, 공동수, 천세억, 박혜경, 손영환, 류재근, 김종민. 1995. 호소 내 오염하천 유입부의 식물에 의한 정화처리 연구 (I).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7. 서윤수, 조규송, 김범철, 허우명. 1988. 팔당 상수원 보호 종합 대책에 관한 연구(1차년도-플랑크톤부문). 국립환경연구원
  8. 임병진, 정원화, 변명섭, 최성헌, 방규철, 황승률, 김상훈, 허성남, 박준대, 박지형, 전선옥, 김병훈, 정재욱, 이정봉, 김종택, 류 재근. 1999. 호수 내 조류 대 발생에 대한 수면제어기술에 관한 연구( II ). 국립환경연구원 한강물환경연구소
  9. 한국수력원자력 (주). 팔당댐 수계자료. http://www.khnp.co.kr/index.jsp
  10. 한명수, 유재근, 유광일, 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수질의 연변화 : 과거와 현재, 육수지 26(2): 141-149
  11. 한명수, 어운열, 유재근, 유광일, 최영길. 1995. 팔당호의 생태학 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변화, 육수지 28(3): 335-344
  12. 한명수, 이동석, 유재근, 박용철, 유광일. 1999. 팔당호의 생태학 적 연구 3. 식물플랑크톤의 일차 생산력과 광합성 모델 parameters, 육수지 32(1): 8-15
  13. 한명수, 홍성수, 어윤열. 2002.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4. 경안 천 하류의 영양염 및 입자태 유기물 거동과 식물플랑크톤 의 천이, 육수지 35(1): 1-9
  14. 환경부. 2000.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5. 환경처. 1990. 팔당호 시험 준설 영향 조사보고서
  16. Hong, S.-S., S.-W. Bang, Y.-A. Kim and M.-S. Han. 2002. Effects of rainfall on the hydrological condition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riverine zone of the Paldang reservoir. Korea. J. of Freshwat. Ecol. 17: 507-520 https://doi.org/10.1080/02705060.2002.9663929
  17. Mortimer, C.F. 1981. The oxygen content of air-saturated freshwater over ranges of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of limnological interest. Mitt. Internat. Verein. Limnol. 21: 1-23
  18. Surfer ver.8 software. Golden Sofeware. Inc
  19. Wetzel, R.G. 1990. Reservoir ecosystems: conclusions and speculations. In: Reservoir Limnology : Ecological perspectives (K.W. Thornton, B.L. Kimmel and F.E. Payne), Wiley interscience.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