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the Lagoon Gyeongpo, Korea

경포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특성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Characteristics of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the Lagoon Gyeongpo,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May to October 2005. Total 26 species caught during the period were belonged to 18 families. Dominant species was T. hakonesis (50.7%) and subdominant species was A. flavimaus (25.4%). K. punctatus (11.1%), M. cephalus (6.5%), E. japonicus (1.5%), C. castaneus (1.0%) were also numerous. Total biomass of collected fish was 401.8 kg, and biomass of each species was T, hakonensis 147.0 kg, A. flavimanus 135.8 kg, K. punctatus 85.6 kg and M. cephalus 23.8 kg. Seasonal variation of fish community seems to be related to spawning periods of species. In conclusion, it appeared that the ratio of the primary freshwater species was gradually decreased, while the peripheral freshwater and seawater species were gradually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data obtained from the past with respect to the ichthyofauna of the Lagoon Gyeongpo.

2005년 5월부터 10월까지 경포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확인된 어류는 총18과 26종이었으며 우점종은 T. hakonensis (50.7%). 아우점종은 A. flavimaus (25.4%)였고, 우세종은 K. punctatus (11.1%), M. cephalus (6.5%), E. japonicus (1.5%), C. castaneus (1.0%) 등이었다. 출현한 26종 중 일차담수어는 6종(23.7%), 주연성담수어는 16종 (61.5%), 해산어는 4종(15.4%)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총 401.8kg이었으며 T. hakonensis 147.0 kg, A. flavimanus 135.8 k8, K. punctatus 85.6 kg, M. cephalus 23.8 kg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어류군집의 변화양상은 어종들의 산란시기에 따라 변화한 것으로 보였다. 경포호의 어류상에 대한 과거의 자료와의 비교에서는 일차담수어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주연성담수어와 해산어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서울. pp. 133-520
  2.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 서적, 서울. pp. 252-264
  3.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pp. 1- 465
  4.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 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pp. 43-515
  5. 김태경. 2004. 경포호의 옛모습 추정(기록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2: 83-93
  6. 김형섭, 김일회, 전방욱, 김재관. 1997. 동해안 석호 자연생태계 연구. 원주지방환경관리청 보고서. pp. 29-35
  7. 박상덕. 2002. 경포호의 변천. 자연과 문명의 조화(구 토목-대한토목학회지) 50: 52-56
  8. 엄정훈. 1998. 동해안 석호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과 주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6: 95-110
  9.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4-49
  10. 전상린. 1986. 한국산 농어과 주연성 담수어류의 분포와 검색에 관하여. 상명여대 논문집 18: 335-355
  11. 전상린. 1989. 한국산 황어속, 연준모치속 및 버들치속(황어아과) 어류의 검색과 분포. 상명여대 논문집 23: 17-36
  12.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pp. 164-257
  13. 조규송, 박양생. 1969. 영랑호의 육수학적 연구. 육수지 2: 57- 66
  14. 최기철. 1986. 강원의 자연(담수어편). 강원도교육위원회. pp. 167-171
  15.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서울. pp. 1-277
  16. 허우명, 김범철, 전만식. 1999. 동해안 석호의 부영양화 평가. 육수지 32: 141-151
  17. 허우명, 권상용, 이재일, 김동진, 김범철. 2004a.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2): 향호. 육수지 37: 1-11
  18. 허우명, 권상용, 이재일, 김동진, 김범철. 2004b.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3): 화진포호. 육수지 37: 12-25
  19. 허우명, 이상균, 권상용, 김동진, 김범철. 2001.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1): 청초호. 육수지 34: 206-214
  20. Kjerfve, B. 1994. Coastal Lagoon Processes. Elsevier, New York. 598p
  21.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