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tudent Conceptions in Evolution Based on Science History

과학사에 근거한 학생들의 진화 개념 분석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Most student misconceptions about evolution are similar to misconceptions and disputes which early scientists had in science histo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 evolution conceptions based on science history, there by revealing for effectively teaching strategies on evolution. A test was developed according to Lee's three dimensional framework (2004) on evolution concept changes. Lee's framework had been constructed according to 4 stages of evolution concept changes in history in three-dimensional aspects such as mechanism, time, and subject: before Lamarck (stage 1), Lamarck (stage 2), Darwin (stage 3), and after Darwin (stage 4).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volution conceptions of students appeared fixed to stage 2 regardless of grade. Moreover, students usually possessed Lamarckian thought and did not show consistency in evolution concepts among the three dimensional aspects of mechanism, time, and subject. Therefore, students were found to apply different conceptions of evolution to each different situation.

진화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대부분의 오개념들이 과학사적으로 진화 개념이 발달해오면서 나타났던 오류와 논쟁들과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미숙(2004)의 과학사 분석을 근거로 하여 9학년, 12학년,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화 개념의 상태를 조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미숙(2004)의 과학사적 진화 개념 발달의 3차원 틀을 토대로 하여 진화, 적응, 변이(퇴행 변이 포함)의 기작, 대상, 시간에 대한 개념 검사지를 개발하고 각 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념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학생들이 보이는 진화 개념의 상태는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고 과학사적 진화 개념 변화 과정과 비교하였다. 학생들은 진화, 적응, 변이, 퇴행변이의 기작에 대한 개념이 학년에 관계 없이 과학사 단계 중 단계 2(라마르크적 사고)에 고착되어 있었다. 학생들은 기작, 시간, 대상에 대한 관점에서 논리적인 일관성을 지니지 못하였고 특히,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그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또한 학생들은 진화, 적응, 변이에 대한 개념에 구분이 없으며 오히려 진화와 적응과 변이를 동일한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학생들의 변이에 대한 개념의 경우 새로운 형질의 등장이라는 상황과 형질의 퇴화라는 각 상황에 대해서 다르게 반응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올바른 진화 개념 습득을 위해서 학생들의 오개념 상태를 고려하여 변이의 중요성, 개체군내에서의 선택의 효과, 유전과의 연계(획득형질의 비유전성, 변이의 원동력으로서의 유성생식과 돌연변이의 역할 등등) 개념을 더 강조해야 하고 이것과 관련된 여러 가지 학습 전략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호, 길학균, 이길재 (1997). 유전개념의 역사적 변천과 학생들의 유전개념 발달의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2), 127-139
  2. 김위경, 이미숙, 이길재 (2003). 집단유전 개념학습에서 귀납적-연역적인 수업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90-199
  3. 박남이, 이길재 (2000). 과학사를 이용한 진화 개념의 교수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2), 85-100
  4. 신영준 (1996). 자연선택 개념의 이해에 대한 횡단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이춘승 (2003). 진화에 관한 중고등학생의 오개념 유형과 유형별 원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이미숙 (2004). 과학사에 근거한 학생들의 진화 개념 변화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전태식 (1987). 광합성과 진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과 오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Bishop, B., & Anderson, C. W. (1990). Student conceptions of natural selection and its role in evolu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5), 415-427
  9. Brumby, M. N. (1984). Misconceptions about the concept of natural selection by medical biology students. Science Education, 68(4), 493-503
  10. Brumby, M. N. (1979). Problems in learning the concept of natural selectio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3(2), 119-122
  11. Deadman, J. A, & Kelly, P. J. (1978). What do secondary school boys understand about evolution and heredity before they are taught the topic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2(1), 7-15
  12. Demastes, S. S., Settlage, J., & Good, R. G. (1995). Students' conceptions of natural selection and its role in evolution: Cases of replication and comparis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5), 535-550
  13. Dobzharsky, T. (1973). Nothing in biology makes sense except in the light of evolut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35(3), 125-129
  14. Fisher, K. M. (1985). A Misconception in biology: amino acids and transl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1), 53-62
  15. Hallden, O. (1988). The evolution of species: Pupils' perspectives and school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5), 541-552
  16. Jensen, M. S., & Finley, F. M. (1995). Teaching evolution using historical arguments in a conceptual change strategy. Science Education, 79(2), 147-166
  17. Jensen, M. S., & Finley, F. N. (1997). Teaching evolution using a historically rich curriculum & paired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strategy.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9(1), 208-212
  18.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Routledge
  19. Mayr, E. (1982). The growth of biological thought.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 Mayr, E. (1991). One long argument : Charles Darwin and the genesis of modern evolutionary thought. Harvard University Press
  21. Mayr, E. (2001). What evolution is. New York: Basic Books
  22.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98). Teaching about evolu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National Academy Press
  23. Settlege, J. (1994). Conceptions of natural selection: A snapshot of the sense-making proces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5), 449-457
  24. Wandersee, J. H. (1985). Can the history of science help science educators anticipate student's misconception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3(7), 581-597
  25. Tamir, P., & Zohar, A. (1991). Anthropomorphism and teleology in reasoning about biological phenomena.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75(1), 5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