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Smoke Optical Density and Toxic Gases of Sandwich Panel Insulations(Single Chamber Method)

샌드위치패널 단열재의 연기농도 및 연소독성가스에 대한 실험적 연구(연소챔버법)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Nowadays in Korea, KS F 2271 has been using for the test of fire safety performance of sandwich panels. Smoke toxicity test is the test for the toxicity evaluation of smoke and hazardous gas, caused by combust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Smoke toxicity can be evaluated by the mean incapacitation time of mice; however this method is not a quantitative way. This test result can be influenced by the health status of mice and test condition. Specific optical density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by ISO 5659-2 single chamber method and toxic gases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by FTIR analysis. In this study, specific optical density of sandwich panel insulations, which are widely used in Korea, were tested using the ISO 5659-2 single chamber test method and compared with each test. Also, in the second test of three tests for each specimen, FTIR analysis was performed and quantitative test results(HCl, $NO_2$, etc) were compared with each test result.

국내에서는 현재 샌드위치패널의 화재성능 평가를 위하여 KS F 2271(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 중 연기 및 연소독성가스에 대한 시험인 가스유해성 시험은, 건축 재료 및 내장재의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의 유해성을 마우스의 평균 행동정지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정량적인 방법이 아니므로 마우스의 상태나 시험조건에 따라 시험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ISO 5659-2 연소챔버 시험방법은 광학밀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FTIR을 이용한 유독가스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ISO 5659-2 연소챔버 시험방법을 사용하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종의 샌드위치패널 단열재의 광학밀도를 측정하여 각 시험체와 비교하였다. 또한, 시험체마다 3번의 시험 중 두 번째 시험시 FTIR 분석을 수행하여 HCl, $NO_2$ 등의 정량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S F 2271,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한국표준협회(1998)
  2. ISO 5659-2, Plastics - Smoke Generation - Part 2 : Determination of Optical Density by a Single Chamber Test, ISO(2002)
  3. FTP Code, International Code for Appoication of Fire Test Procedures, Res.MSC.61(67)
  4. KS M ISO 5659-2, 플라스틱-연기발생-제2부 : 단일 전소 체임버 시험에 의한 광학밀도의 측정, 한국표준협회(2002)
  5. 신건축기준법에 의한 방화재료의 성능평가, 일본건재 시험정보(2000. 9)
  6. 화재연소생성물의 독성, 일본 화재연소생성물 독성조사연구위원회, 소화 62
  7. 방화재료팜플랫, 일본건설재료학회(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