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auses of Franchisee's Conflict in Distribution Channel of small and middle sized Franchise Industry

중소형 프랜차이즈 유통시스템에서 가맹점의 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 토대이론 접근법을 활용하여-

  • Jeon, Ta-sik (Dept. of Distribution Management in Yuhan College)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Small and middle sized Franchise system channels experience conflicts because of constant interaction between franchiser and franchisee. However, it is rarely that attempt has been made to identify causes of conflicts in distribution of franchis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ause of conflicts from the franchisee.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owner or the shop-manager with a contractor in franchise systems. By means of in-depth interviews with multiple informants, their statement was analyzed qualitatively. From analysis of the resulting data, the causes of conflicts were associated with two broad sets, attitudinal and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franchisers and franchisees. First, attitudinal sources of conflict were identified as perception of subordinated relationships between channel members, delayed announcement on order change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by doing irresponsible behavior, different expectations between channel members in market territory and lack of consistent-supporting. Second, structural sources of conflict involved unilateral decision on interior, payment method, unreasonable delivery issue, treat franchisee with discrimination by the sales, in controlling against free management. There ar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due to the results based on interview, bu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exploratory step before designing a large scale survey.

본 연구는 중소형 프랜차이즈 시스템이 시장에서 급격하게 생겨남에 따라 유통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이의 갈등에 대해 가맹점 입장에서 겪게 되는 다수의 갈등을 토대이론 접근법을 활용하여 좀 더 깊이 있게 파악하였으며, 그 갈등 요인 해소를 위해 본부와 가맹점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연구결과, 가맹점의 갈등은 크게 11가지로 입지 선정 및 상권 유지의 문제, 매출 규모별 차별대우, 계약에 의한 주종관계로 인식, 예고 없는 ITEM(메뉴) 변경 및 공급량 감소, 일방적인 인테리어 공급자 선정, 현금 지급 및 신용여신운영 미실시, 자율 경영의 통제, 비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비합리적인 납기문제, 일방적인 정책 운영, 일관되지 않은 지원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갈등을 최소화하고 더 나은 경로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 본부의 인식 전환과 Win-Win 할 수 있는 공동의 목표 수립이 본부와 가맹점 모두에게 필요하다. 또한 가맹점은 본부의 강력한 지원을 제공받으며 차별화 된 노하우로 지역 상권의 특성을 살려 나름대로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자기 상권에 맞는 서비스를 차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