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지산 및 그 인근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과 주요 식생 현황

Flora and Present Vegetation Status of Minjujisan and Its Adjacent Regions

  • 김윤영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지성진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고은미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장창기 (충북대학교 바이오연구소) ;
  • 오병운 (충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Kim Yoon-Young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i Seong-Jin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o Eun-Mi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ang Chang-Gee (Bi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Oh Byoung-Un (Department of Life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2.01

초록

민주지산 및 그 인근지역에 대한 관속식물상 조사가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에 걸쳐 총 27회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172과 397속 631종 3아종 105변종 25품종 등 총 76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요 유용식물로서 한국특산식물 35분류군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12분류군, 그리고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 101분류군이 각각 조사되었다. 아울러 조사지역 내에 귀화식물 46분류군도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조사지역의 식생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나 최근 들어 개발, 남채, 답압 등의 인위적 간섭에 의해 그 훼손 정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지역에 대한 보존지역 확대 지정 등 적극적인 보존대책 수립이 시급하며,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의한 식생의 동태 파악이 필요하고 판단되었다.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nd the present vegetation status of Minjujisan and its adjacent regions were investigated from 2000 to 2004, total 27 times. The plant taxa of these areas consist of 764 taxa totally; 172 families, 397 genera, 631 species, 3 subspecies, 105 varieties and 25 forms. There were many useful plants such as 35 taxa of Korean endemics, 12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101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which were determin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urthermore, 46 taxa of naturalized alien plants were also investigated in the boundary of developing areas. The vegetation status of investigated area was comparatively well conserved, but the degree of damage was increasing rapidly by development, deforestation, and tramp which were induced by the disturbances of human beings. Therefore, more active conservation strategies such as expanded designation of conservation area. should be established, and carried out continuously based on the results of long-term monitoring 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준, 김홍은, 이희선, 1989. 충청북도 소산식물목록집. 서원대학교기초과학연구소.44p
  2. 강상준, 이창석. 1988. 민주지산일대 종합학술조사보고. 자연보존협회.26: 63-69
  3. 고성철, 태경환, 김완태, 이홍수. 1990. 민주지산의 식물상. 한남대학교논문집.pp.85-115
  4.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408p
  5. 무명인. 1999-2003. 자동기상관측월보. 기상청. 765p., 769 p., 773 p., 865 p., 891 p
  6. 무명인.2001. 일반식물상조사지침. 제2차 전국자연환경 조사지침-식물상 및 식생. 환경부
  7. 박수현. 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371 p
  8.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국립수목원. 184 p
  9.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연구보고서. 13:5-84
  10. 오병운, 김영수, 정규영, 김미경, 박기룡, 김주환, 박선주, 2002. 화분형태에 의한 한국산 대극속(Euphorbia L.) 식물의 분류학적유연관계. 식물분류학회지 32: 339-362
  11. 이영노. 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47 p
  12.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p
  13. 이우철. 백원기. 유기억. 1993. 민주지산관속식물상(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보고). 환경부.pp. 13-51
  14. 이유미. 이원열. 1997.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도감. 중부임업시험장.225p
  15.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 p
  16.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하권). 향문사.914 p.,910 p
  17. 이희선. 2001. 민주지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식생 및 식물상). 영동군.pp. 109-173
  18. 정태현. 1957-1958. 한국식물도감(상, 하권). 신지사. 507 p, 1025 p
  19. Iwatsuki K. 1992. Ferns and fern allies of Japan.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 331 p
  20. Lee, T.B. 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 J. Pl. Tax. 14: 21-32 https://doi.org/10.11110/kjpt.1984.1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