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용담과 용담속(Gentiana) 식물의 분류 - 해부학적형질 및 미세구조 -

A Taxonomic Sfudy of the Gentiana (Gentianaceae) in Korea - Anatomical and Ultrastructure -

  • 발행 : 2006.02.01

초록

한국산 용담속(용담과) 식물중 남한에 분포하는 10분류군을 대상으로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과 종피의 해부학적 형질과 미세구조를 조사하여 절과 종간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종 동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설정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줄기, 잎, 악편, 자방의 횡단면 및 잎상하표피, 화관열편 표면의 미세구조에서 등에 의해 절, 아절 그리고 계로 구분되었고 종자의 형태와 종피의 미세구조에 의해 종간의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이 형질들은 용담속의 분류군들을 구별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형질로 밝혀졌다.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investigations on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characters include stem, leaf, ovary, sepal, corolla, stigma, and seed surface on 10 taxa of the Korean Gentiana (Gentianaceae) were carried out to clarify the section and species limitation, As the results, taxonomic boundaries of the section, subsection, and series were recognized by using characters such as stem, leaf, sepal, ovary, and corolla. Also the seed morphology and testa surfaces were well defined at the species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2. Gopal Krishna, G. and V. Puri. 1962. Morphology of the flower of some Gentianaceae with special reference to placentation. Bot. Gaz. 124: 42-57 https://doi.org/10.1086/336172
  3.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ed. 1., Stockholm
  4. Namba, T., Tani, T. and Minami, T. 1968.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Tibetan herbal medicines(2). Jour. Jap. Bot. 43: 268-276
  5. Nilsson, S. 1967. Pollen morphological studies in the Gentianaceae- Gentianae. Grana Palynol. 7 : 46-145 https://doi.org/10.1080/00173136709432847
  6. Palibin, J. W.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II. Act. Hort. Petrop. 19: 159-160
  7. Tournefort, J.P. 1700. Institutiones rei herbariae (ed.1). Parisiis
  8. Toyokuni, H. 1985. On the new system of Gentiana. 長野植硏究會誌, 14:4-7
  9. Toyokuni, H. 1989. Notes on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distinguishing allied species. - in Gentiana sect. Pneumonanthe in Japan. Fac. Lib. Art. Shinshu Univ. 15: 23-31
  10. Toyokuni, H. & Y. Toyokuni. 1975. On the significance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gentian systematics. Symb. Asahikaw. 3: 163-168
  11. 박만규. 1946. 우리나라 식물명감: 문교부
  12. 이우철. 백원기. 1995. 한국산 용담속 용담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5(3): 141-164
  13. 백원기. 정영재. 이우철. 2001. 화분형태에 의한 한국산 용담과 식물의 분류.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1(1): 33-56
  14. 이창복. 1976. 관악수목원 연구보고(1). 98. 서울대학교 관악수목원
  15.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항문사
  16. 정태현. 1956. 한국식물도감. 하권(초목부). 신지사
  17. 정태현. 1965. 한국동식물도감. 제 5권 식물편(목. 초목류). 문교부
  18. 정태현. 1970. 한국동식물도감. 제 5권 식물편(목. 초목류). 보유 문교부
  19.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조선식물명집. 조선생물학회
  20.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민재. 1937. 조선식물향명집. 조선박물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