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MMA in the Color Tone of Color Cosmetics

색조 화장품의 색상에 있어서 Polymethylmethacrylate (PMMA)의 효과

  • Lee, Young-A (Master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 Kim, Ju-Seub (Department of Cosmetology, Sangji Youngseo College)
  • 이영아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향장미용) ;
  • 김주섭 (상지영서대학 피부미용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impact of PMMA on color changes comparatively by making 2 types of cheek color items with red-color pigments: one containing PMMA, which is one of the recently developed circular polymers and used when producing color make-up items that have aero powder as the chief ingredient, and the other without it. To accomplish the purpose, we have reviewed literature on raw materials that have aero powder as the chief ingredient. Also, after making compounds of PMMA and pigments lot aero powder, such as Talc, Mica, OMC Talc As, Mica As, we examined them compared to those without PMMA using spectrophotometer, a questionnaire survey, and Digital camera. Besides, the particles were analyzed using S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smetics containing PMMA represent more vivid and rich colors, putting on one's face softly. Since the entire specific surface area of PMMA is large enough to absorb oil evenly, it yields vivid and rich colors. But, Mica, one of natural pigments, shows a result as opposed to that of Mica As, one of silicon-compounded pigments, suggesting that pearl effect may possibly causes defused refle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cosmetics will have more vivid colors, or improved color presentation, as well as the softer sense of touch when a circular polymer of PMMa is added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olor make-up items.

본 연구는 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색조 화장품 제조시 최근 개발된 구상입자의 PMMA를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적색계의 착색안료를 넣어 볼연지로 제조한 후 PMMA가 색상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파우더 원료에 관해 문헌 고찰을 하였다. 또한 분체안료 Talc, Mica, OMC Talc As, Mica As에 PMMA를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로 처방하여 직접 제조한 후, spectrophotometer와 설문조사, digital camera로 촬영하여 비교 평가하였고 SEM을 이용하여 미립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MMA를 첨가하여 제조시 색상이 좀 더 선명하고 짙게 표현되며 촉감도 부드럽게 발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PMMA 비표면적이 커서 oil을 고르게 흡수하기 때문에 색상이 짙고 선명하게 표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천연안료 Mica는 silicon 처리한 합성안료 Mica As와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남에 따라 펄감으로 인해 난반사가 일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색조 화장품 제조시 구상 미립자 PMMA를 첨가하면 부드럽게 발리는 촉감뿐만 아니라 색상 표현이 좀 더 선명하게 나타나게 해 제품의 색상 표현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진종언, 김형률, 김기연, 진종언, 김형률, 김기연, 유경수, 이혜영, 한영숙, 최순임, 최은영, 화장품 과학, 정담, 18 (2002)
  2. 光井武夫, 신화장품, 동화기술, 17 (1997)
  3. 나현숙, 韓國 化粧史-粉(powder)의 傳統史的 考察,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보건환경과학대학원 석사논문 (1999)
  4. 이민화, 구영순, 향장품 과학 입문, 신광출판사, 130 (2000)
  5. 진종언, 김형률, 김기연, 진종언, 김형률, 김기연, 유경수, 이혜영, 한영숙, 최순임, 최은영, 화장품 과학, 정담, 184 (2002)
  6. 하병조, 권주덕, 양현옥, 최은영, 고원배, 화장품화학, 수문사, 169 (1999)
  7. 차명호, 파운데이션과 파우더 제품의 선택과 적용에 관한 조사연구, 제주한라대학 논문집 제24집, 163 (2001)
  8. 하병조, 화장품학, 수문사, 127 (2001)
  9. 리호동, 화장품 성분학 교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87 (2003)
  10. 광업진흥, 대한광업진흥공사 (1988)
  11. 양윤미, 루즈 파우더(loose powder) 오일 바인더(oil binder) 성분 변화에 따른 타입별 적합성 연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생물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5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