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Effecting on the Rural Life Satisfaction of Returners to the Farm After Retirement

  • 박공주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 윤순덕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 강경하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발행 : 2006.12.30

초록

This research tried to present some basic data necessary to give effective support to urban retirees who already returned to the farm by looking into factors effecting on their adjustments to the lives before they returned to the farm and after they did so to know how well they adapt to the rural lives. For the purpose, we made a survey of 408 returners to the farm over the age of 50 for 6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3 in 2004 using questionaire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e occurred by the sociological demographic changes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subjective economic ability' and 'previous job'. Secon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t which was taken place by the reasons before they moved to the farm is effected considerably by what made them decide to return to the farm first whether they prepared for it or not and how much money they have to do so. Therefore, to succeed in adjustment to the rural lives, their decision should be made by positive causes, they have to prepare concretely for it before they carry out their plans and they had better have enough money to move. Third,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e occurred by the reasons after they moved to the farm is effected by 'satisfaction with the forming information', 'the number of friends or neighbors', 'the frequency of meeting the friendly', 'the level of intimacy with neighbors' and 'their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 with other residents'. And the sensitiveness to perceive the inconvenience according to the rural life is related strongly to the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e in the above 6 areas. Fourth, the repression analysis implemented to find how much the above 3 factors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rural life shows that it is 'returner's current health condition', 'farming education', 'farming fund' and 'effort to be intimate with other residents' that are very importa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대구, 김경남, 김민수, 이웅, 변규식 (2006),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방안 연구, 농림부
  2. 고승덕(1 996),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구본석(1999), 귀농자의 영농정착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산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동근(1 998 ), 농업정책방향과 귀농대책, 농촌회생과 자립적 농업을 위한 귀농정책세미나 자료, 서울: 전국귀농운동본부
  5. 김성수, 정지웅, 임형백, 고운미, 김정태, 이성 (2004), 귀농자들의 농촌정착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1(1) : 53-65
  6. 김성훈(2006), 장수시대의 도래와 인생의 이모작 설계, 제2의 인생을 농촌에서 II. 도농교류 심포지엄 자료집,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3-23
  7. 김재돈, 남철현(1997),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협회지 23(2) : 173-192
  8. 김태현(1994), 노년학, 서울: 교문사
  9. 김형용(1998), 귀농자의 실태와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경영학회지 14(1) : 205-223
  10. 남정덕(2000), 귀농형 실버타운의 보급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농림부(2000), 귀농자들의 농촌정착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농림부
  12. 농림부(2006),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방안 연구, 2005년 농림부 정책과제보고서, 농림부
  13. 농어업 .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005 ),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방안: 도시민의 농어촌 정주지원을 중심으로
  14.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4), 일본의 농산어촌 고령자대책, 농촌진흥청번역서, 203-204
  15.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4), 농촌자원개발연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 개발연구소
  16. 농촌진흥청(1998), 귀농농가의 경영모형 길잡이, 농촌진흥청
  17. 농촌진흥청 (2004),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지역별 고령화 특성 및 변화분석,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18. 농촌진흥청 (2006), 제2의 인생을 농촌에서 II, 도농교류 심포지엄자료집
  19. 박광희, 한혜정(2002).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11 : 43-61
  20. 박상철 편(2002), 한국의 백세인, 서울대학교출판부
  21. 박영일(1998), 성공적인 귀농을 위한 연구: 귀농사례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박충선(1990), 한구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여성연구 8(3) : 115-153
  23. 보건복지부(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24. 배민식(1999), 최근의 귀농동향과 지원책 모색, 농민과 사회, 15, 한국농어촌사회 연구소
  25. 사단법인 전국농업기술자협회(2001), 제2의 인생을 농촌에서 건강하고 보람있게, 제2차 도농녹색교류심포지엄 자료집
  26. 서규선, 변재면(2000), U턴 귀농자 장 . 단기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 137-153
  27. 서미경, 김정석(1995),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보건사회연구 15(2) : 97-116
  28. 서병숙, 이현(1995), 사회적 지원망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3(3) : 43-57
  29. 서울대학교한국농선회(2000), 귀농자들의 농촌정착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농림부
  30. 신윤철, 김동섭, 배성의, 윤준상(1998), 귀농자의 귀농 동기 및 배경특성 분석, 공주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산업개발연구, 59-70
  31. 원영희(1995), 동 . 별거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2) : 97-116
  32. 윤순덕, 강경하, 박공주, 이정화(2005), 도시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이주의사 결정요인, 한국노년학 25(3) : 139-153
  33. 윤순덕 (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이동하(1998), 귀농자의 농촌적응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정관(1998), 귀농자의 영농정착과 관련된 특성분석, 공주대학교 산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이병철(1999), 귀농: 우리는 왜 귀농해야 하는가?, 두레
  37. 이영은(1990), 노인의 성격유형과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이형실(1999), 농촌 부부가구노인의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19(3) : 109-120
  39. 임혜영(1999), 귀농자의 적응과 복지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영대(1981), 성공적인 영농종사자의 영농정착과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장인협, 최성재(1987),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2. 정철영(1999), IMF에 따른 귀농희망 실업자를 위한 영농교육훈련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2(1) : 1-26
  43. 정한모(2002), 귀농인의 농촌생활과 영농정착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조동석(1998), 지역 귀농인들의 영농실태와 그 개선대책 연구: 칠곡군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5. 조록환(1998), 귀농가구의 생활실태 분석, 농촌생활과학 19(1) : 38-41
  46. 천규식(1997), 귀농(歸農) 왜 어떻게 해야 하나, 경향잡지, 1997년 7월호 : 33-40
  47. 최원규, 백승우(2001), IMF 이후 귀농자의 실태와 정 착방안, 나눔의 집
  48. 통계청(2002), 2000년도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 고령자-, 통계청
  49. 한경혜, 윤순덕(2001), 자녀와의 동 . 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학 21(2) : 163-178
  50. 한국노년학회(2000), 노년학의 이해, 대영출판사
  51.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52. 한승옥(1985), 지식인의 귀농의미 재고, 고려대학교어문논집 124(1) : 833-844
  53. Bock, E. W, & Webber, I. L.(1972), Suicide among the elderly: Isolating widowhood and mitigating alterativ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4 : 24-31 https://doi.org/10.2307/349626
  54. Carlson, J. E., Junk, V. W, Fox, L. K., Rudzitis, G. & Cann, S. E.(1998),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migration to Idaho: an adaptation of the amenity retirement migration model, The Gerontology 38(1) : 18-24 https://doi.org/10.1093/geront/38.1.18
  55. Costello.(1977), Urbanigation in middle east,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56. Graff, T. O. & Wiseman R. F.(1978), Changing concentrations of older Americans, The Geographical Review, 68 : 379-393 https://doi.org/10.2307/214213
  57. Graves, N. B. & Graves.(1974), Adaptive strategies in urban migration,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Vol.3 : 121-126
  58. Lee, A.(1980), Aged migration: Impact on service delivery, Research on Aging 2 : 243-253 https://doi.org/10.1177/016402758022012
  59. Lee, On-Jook.(1980), Urban-to-rural return migration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60. Lee, On-Jook & Kim, Kyong-Dong.(1980), Migration and Adaptation to the City: Comparative Prefile of Returners and Stayers in Korea. Bulletine of the Population and Development Studies Center, Vol. 8
  61. Melville, M. B.(1978), Mexico women adapt to migr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Vol. 12
  62. Moore, J. M.(l971), Mexican Americans and cities: A study in migration and the Case of Informal Resource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5 : 93-294
  63. Mullins, L. C. and Dugan, E.(1990),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family and friendship relations on residents' loneliness in congregate housing, The Gerontology 30(3) : 377-383 https://doi.org/10.1093/geront/30.3.377
  64. Palmer J. and Gould S.(1986), Economic consequences of population aging in our aging society: paradox and promise. N.Y : 367-390
  65. Fielding. G. J.(1974), Geography as social sc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Publications
  66. Roseman, C. C.(l981), Population redistribution in the Midwest, NCRC, Iowa State Univ
  67. Sjoberg, G.(1969), Cities in Developing and in Industrial Societies: A Cross Cultural Analysis. in Philip M. causer & Leo. F. Schnore(eds.), The Study of Urbaniza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68. Sterns, H. L. & Stems, A. A.(1995), Health and the employment capability of order Americans. In BASS, S. A.(Ed.), Order and Active: How Americans over 55 Age Contributing to Society, New Haven. C. T : Yale University Press. p. 11
  69. Stuefen, R. M. & Dykstra, D. V.(1997), Growth. diversification and in-migration: South Dakota's economic awakening, South Dakota Business Review, 56(1)
  70. Warnes, A. M., 1980, The characteristic of retirement migrants, in: Herbert. D. T. and Johnston, R. J. (eds.), Geography and the Urban Environment, Vol. 3, Chichester: Wiley: 175-222
  71. Warnes, A. M. and Law, C. M.(1982) The destination decision in retirement migration, in: Warnes. A M.(ed.), Geographical Perspectives on the Elderly, Chichester: Wiley : 5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