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in Large Reclamated Sites Using Laboratory Consolidation Tests and GIS Techniques

실내압밀시험과 GIS 기법을 이용한 대규모 매립지역의 장기침하량 예측

  • 박사원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홍택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성원 (유신코퍼레이션 지반공학부) ;
  • 백승철 (안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상권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5.06.10
  • Accepted : 2005.07.22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e secondary consolidation settlement of soft clay is generally very little compared to the total settlement and occurs very slowly during long-term period. However the secondary consolidation settlement is comparatively large amount in organic and heavily compressed clay and is a very important engineering factor. In order to reduce residual settlements in reclaimed soft ground, the preloading method is often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reasonable long-term settlements of large reclaimed site, laboratory incremental loading consolidation tests and surcharging consolidation tests are performed. Sampling was done at Incheon area of west coast and Gwangyang area of south coast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consolidation have obtained through laboratory tests and analyzed systematically to predict long-term settlements. Additionally, the location data and laboratory test results are correlated by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secondary consolidation settlement of the site was predicted based on D/B and the operation technique and estimation technique of space of GIS.

연약 점토지반에서의 2차 압밀침하량은 일반적으로 전체 압밀침하량에 비해 미소하고 2차 압밀까지의 종료시간도 상당히 길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으나 유기질 또는 고압축성의 점토에서는 비교적 큰 침하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요한 공학적 요소로 간주된다. 이러한, 준설매립지반의 잔류침하량을 저감시키기 위해선 선행재하공법(preloading)이 주로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매립지역의 장기침하량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실내에서 단계재하 압밀시험 및 surcharging 압밀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서해안(인천) 및 남해안(광양) 일대의 대규모 준설매립지역에서 시료를 채취했으며, 이 지역내 준설점토의 2차 압밀특성치들을 실험으로 규명하여 장기침하량 예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지리정보체계(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의 위치정보(수치지도)에 지반정보(속성자료)를 접목시켜 해당지역의 자료를 D/B화 한 후, GIS의 연산기능 및 공간추정 기능 등을 활용함으로써 대규모 준설매립지역의 2차 압밀침하량을 예측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