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스케줄 분석을 통한 고령자의 통행특성과 통행행태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Elderly Travel Characteristics and Travel Behavior with Daily Activity Schedules (the Case of Seoul, Korea)

  • 발행 : 2006.08.31

초록

우리나라도 2000 년에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가 전인구의 7%에 도달하며서 소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고 앞으로 25년간 우리나라 고령자인구의 증가율은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급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최근 고령화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교통시설물 계획 등에서 고령인구의 통행특성을 고려한 계획 및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교통존 혐의 집계분석 방법론에서는 일반인과 고령자의 평균값을 사용함으로써 고령자의 통행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인과 다른 고령자의 통행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네스티드 로지모형을 이용하여 개인의 통행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비집계분석의 방법론으로 활동 스케줄링 모형을 구축하고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 일반인과 비교해 고령자의 통행특성은 직장인과 비직장인 모두에서 출발시간과 수단 선택에서 큰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개인 통행특성의 차이를 간과한 기존의 교통존 중심의 집계분석 방법론으로 장래 수요 예측시에 큰 편이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통행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활동기반모형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좋은 선행과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활동기반분석의 지속적인 연구 및 이에 대한 개발은 현재 대두되고 있는 도로사업 평가의 신뢰성, 향후교통시설물 계획 및 설계 평가에 중요 요소로 인식되는 교통량 예측 등에 대한 신뢰성 향상에 많은 기회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orea has been entering the ageing society as the population of age over 65 shared over 7% since the year 2000. The ageing society needs to have transportation facility considering elderly people's travel behavio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lderly people's travel behavior using recent data in Korea. The activity schedule approach begins with travel outcomes are part of an activitv scheduling decision. For tho?e approach. used discrete choice models (especially. Nested Logit Model) to address the basic modeling problem capturing decision interaction among the many choice dimensions of the immense activity schedule choice set The day activity schedule is viewed as a sot of tours and at-home activity episodes tied togather with overarching day activity pattern using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ransportation Survey data, which was conducted in June, 2002. Decisions about a specific tour in the schedule are conditioned by the choice of day activity pattern. The day activity scheduling model estima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tours interrelated in a day activity pattern. The day activity pattern model represents the basic decision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priorities and places each activity in a configuration of tours and at-home episodes. Each pattern alternative is defined by the primary activity of the day, whether the primary activity occurs at home or away, and the type of tour for the primary activity. In travel mode choice of the elderly and non-workers, especially, travel cost was found to be important in understanding interpersonal variations in mode choice behavior though, travel time was found to be less important factor in choosing travel mode. In addition, although, generally, the elderly was likely to choose transit mode, private mode was preferred for the elderly over 75 years old owing to weakened physical health for such things as going up and down of stairs. Therefore. as entering the ageing society, transit mode should be invested heavily in transportation facility Planning tor improving elderly transportation service. Although the model has not yet been validated in before-and-after prediction studies. this study gives strong evidence of its behavioral soundness, current practicality. and potential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transportation Projects superior to those of the best existing systems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령자 및 장애인 교통안전대책 연구(2002), 교통 안전공단
  2. 안용성(2001),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교통/활동패 턴의 요일별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3. 안용성, 정진혁(2001), 개인성향, 활동참여, 통행 패턴을 고려한 통합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1, pp.23-28
  4. 이동규(2001),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통근시 수단 선택과 업무 후 비업무 방문 행태에 관한 연구, 중 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5. 윤대식.윤성순(1995), 도시모형론, 흥문사
  6. 윤대식, 안영희(2003), 고령자의 통행특성과 통행 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 38권 제7호
  7. 윤대식(1997), 통근통행자의 통행패턴 선택행태의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35-51
  8. 윤대식, 조남건(2002), 고령자의 통행수단 선택시 영향 을 주는 요인 연구, 국토연구 제 33권, pp.129-144
  9. 정진혁, 이동규(2001),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 용한 직장인의 퇴근 후 방문활동패턴분석 - 서울시 를 중심으로, 대한 토목학회 학술 발표회 논문집
  10. 최연숙, 정진혁(2002b), Puget Sound Transportation Panel을 이용한 활동참여와 통행행동의 Dynamic SEM,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29-140
  11. 최연숙, 정진혁, 김성호(2003), 다수준 모형을 이용한 활동참여와 통행행태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7호, 대한교통학회, pp.79-85
  12. 최현주(2003), TRANSIMS의 인구생성모듈 적 용성 검토,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 논문
  13. 2002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보고서(2003), 서울시
  14. 2004년 고령자 통계 보고서(2004), 통계청
  15. Ben-Akiva and Steven R. Lerman(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Cambridge, Massachusetts: MIT Press
  16. Ben-Akiva, M.E., Bowman, J. L.(1997), Activity-based disaggregate travel demand model system with activity schedules
  17. Bowman, J. L.(1998), The day activity schedule approach to travel demand analysis. Ph. D. Thesi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USA
  18. Chung, J. H.(1997), Transportation Impact Simulation for Access Management and Other Land Use Polici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Ph. D. Dissertation,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19. Chung, J. H., Lee, Y. S.(2002),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Day-To-Day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Behavior in a Developing Countr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07, pp.109-118 https://doi.org/10.3141/1807-14
  20. Golob, T. G., McNally, M. G.(1997), A model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travel interactions between household head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31, pp.177-194 https://doi.org/10.1016/S0191-2615(96)00027-6
  21. Greene. W. (1986), LIMDEP Users' Manual, New York
  22. Greene. W. (2002), Econometric Analysis, 5th ed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23. Kenneth Train(2001), Discrete Choice Methods with Simu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McFadden. D. (1974), Conditional logit analysis of qualitative choice behavior. Academic Press. New Your, pp.105-142
  25. Michael Fox(1995), Transport planning and the human activity approach, Journal of Transportation Geography, Vol 3, No. 2, pp.105-106 https://doi.org/10.1016/0966-6923(95)00003-L
  26. Pas, E. I.(1996), Recent advances in activitybased modeling, TMIP Activity-Based Travel Forecasting Conference, June 2-5, pp.79-102
  27. Recker, W. W.(1999), A bridge between travel demand modeling and activity-based travel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35, pp.481-506 https://doi.org/10.1016/S0191-2615(00)00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