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LOS Estimation Standard in the Mixed Traffic Street

보차혼용도로에서의 LOS 평가기준 마련에 관한 연구

  • 김숙희 (아주대학교 수원발전연구센터) ;
  • 김관중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
  • 최기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
  • Published : 2006.05.31

Abstract

There were many theories to suggest the indicators that evaluate stability and reflect the plan in mixed traffic street in all traffic modes This Paper analyzed residential street of Suwon City adopting time-space occupancy index among these indicates. Three survey street. congregated into apartment house. were selected to analyze this and pictured by video camera over one hour. and the length of these street were 76m, 55m, and 34m each, and major street by each region, comparably high in Pedestrians and pass vehicles, were selected. Basic datum to calculate time-space occupancy index and time-space occupancy index per person was gathered through video analysis. i.e Parameters for pedestrians, cars, bicycles, average speed of bicycles, and parking car. There are some limitation to analyze LOS of mixed traffic street in all traffic modes, not pedestrian mall. Therefore this paper presented evaluation standard of LOS. In conclus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modeling based on guidelines for evaluating LOS of mixed traffic street in all traffic modes. It is estimated that this will be influencing indicates for improving pedestrian environment, and Planning mixed traffic street in future.

모든 교통수단이 혼재되어있는 보차혼용도로에서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와 계획을 반영하는 지표들이 몇 논문에서 제시되어진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지표중 시공간점유 인덱스를 적용하여 수원시 주택가 이면도로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동주택이 집합되어 있는 3곳을 조사대상지로 하였고. 이 대상지를 비디오로 1시간이상 촬영하였으며, 3곳의 길이는 각각 76m, 55m. 34rn 이며 각 지구별 주요가로로써 보행량과 통과차량이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곳으로 선정하였다. 비디오 분석을 통해 시공간 점유인덱스와 1인당 시공간 점유량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였고, 즉 보행자,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의 평균속도, 평균통과시간 등과 주차대수 등의 파라메터를 얻었다 현재 보행자 전용도로가 아닌 모든 교통수단이 흔재되어 있는 보차혼용도로의 LOS를 분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OS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모든 교통수단이 혼재되어 있는 보차혼용도로에서의 보행자 LOS를 평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것으로, 이는 향후 주택가 이면도로의 보행환경을 개선하거나 보차공존도로를 계획할 때 반영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환(1999), '국내 보행 서비스수준의 평가기준',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31-46
  2. 도로용량편람(2004), 사단법인 대한교통학회
  3. 도철웅(1995), 교통공학원론(상), 청문각
  4. 양경희(1995), '보행자 특성 및 통근 통학자의 보 행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5. 임정실.오영태(2002), '보행자 도로의 용량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91-99
  6. 진장원(1999), '보차혼합도로에서 시공간노출량 지표에 관한 연구', 대학교통학회지, 제17권 제2호, 대학교통학회, pp.105-114
  7. 조현세 외 4인(2003), 가로환경계획매뉴얼, 청문각
  8. Bruun, E., Vukan V.(1994), 'Time-Area Concept: Development Meaning, and Applications', TRR 1499,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95-104
  9. Dixon, L.B.(1996), 'Bicycle and Pedestrian Level of Service Performance Measures and Standards for Congestion management Systems', 75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10. Kwon et al(1998), 'Analysis of Pedestrian Behavior and Planning Guidelines with Mixed Traffic for Narrow Urban Streets', TRR 1636,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116-123 https://doi.org/10.3141/1636-19
  11. Lee, Jodie Y S et al(2005), 'New Level-of- Service Standard for Signalized Crosswalks with Bi-Directional Pedestrian Flows',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31, Issue:12, pp.957-960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2005)131:12(957)
  12. Masamitsu Mori, Tsukaguchi, H(1987), 'A New Method for Evaluation of Level of Service in Pedestrian Facilitie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21, Issue:3, pp.223-234 https://doi.org/10.1016/0191-2607(87)90016-1
  1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2000), 'Highway Capacity Manual', Special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