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대구시민의 지역 간 통행수단 선택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city Mode Choice Behavior of Daegu Citizen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Gyeongbu High-Speed Railway

  • 윤대식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
  • 육태숙 (영남대학교 지역개발학과) ;
  • 김상황 (대구광역시 버스개혁기획단)
  • 발행 : 2006.02.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1단계 개통 이후 대구${\sim}$서울 구간 운행소요시간이 새마을호의 3시간 3분에서 1시간 39분으로 단축되어 대구시민의 지역간 통행 행태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점을 직시하구 대구~서울 구간과 대구${\sim}$대전 구간으로 나누기 지역 간 통행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여 2010년 본격적인 고속철도시대를 대비하여 합리적인 지역 간 교통체계를 갖추는데 필요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고속철도 개통 이후 대구시민의 지역 간 통행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대구${\sim}$서울 구간과 대구${\sim}$대전 구간으로 지역간 통행을 구분하여 고속철도 승용차, 새마을호, 무궁화호 항공기(대구${\sim}$대전 구간 제외), 고속버스의 선택대안으로 나누어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명변수로 차내시간(IVTT), 차내비용(IVTC), 차외시간(OVTT), 차외비용(OVTC)은 일반적 변수(generic variable)로 적용하였고, 나머지 변수들은 대안특유의 변수(alternative-specific variable)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대구시민의 지역간 통행수단선택행태의 경험적 분석을 위하여 다항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최우추정법(method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활용하였고 LIMDEP Version 7.0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추정된 대구시민의 지역간 통행수단 선택의 다항로짓모형은 통계적 행태적 측면에서 대체로 타당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대구${\sim}$서울 구간의 통행수단 선택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차외시간, 차외비용, 통행빈도, 통행목적 성별, 나이, 직업, 가구 전체의 월평균 소득, 개인 월평균 소득이 지역간 통행수단 선택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구${\sim}$대전 구간의 통행수단 선택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차외시간, 차외비용, 차내시간 통행빈도, 나이(51세 이상 제외), 직업, 가구 전체의 월평균 소득이 지역 간 통행수단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ter the first opening of the KTX in April 2004, travel time between major cities has been dramatically reduced. The reduction rates range from 32% to 47%. Considering travel time reduction between major cities, this study concerned about the intercity travel impact of the KTX operat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ntercity mode choice behavior of Daegu Citizens according to the first opening of the KTX. This study takes place in two sections. These are (i) the section of KTX between Daegu and Seoul, and (ii) the section of KTX between Daegu and Daejeon. This study estimated empirical models for analyzing intercity mode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the first opening of the KTX. This study makes use of the data from travel survey from Daegu metropolitan area. The main part of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KTX Dong-Daegu station. The survey data includes the information on travel from Daegu to Daejeon and from Daegu to Seoul. In order to analyze intercity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the frist opening of the KTX, multinomial model structure is used. For the model specification, a variety of behavioral assumptions abou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mode choice, were considered.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OVTT(Out-of-Vehicle Travel Time), OVTC(Out-of-Vehicle Travel Cost), IVTT(In-Vehicle Travel Time), IVTC(In-Vehicle Travel Cost), travel frequency, travel purpose, sex, age, occupation. household income, individual income are significant in choosing intercity travel mode.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intercity nde choice behavior is different between (i) the section of KTX between Daegu and Seoul, and (ii) the section of KTX between Daegu and Daejeon. Furthermore,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conclu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통개발연구원(2000), 경부고속철도 개통이후 철 도화물수송능력 증대를 위한 기초연구
  2. 교통개발연구원(2002),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항 공교통부문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
  3. 교통개발연구원(2003), 시외고속버스 노선운영체 계 개편방안 연구: 경부고속철도 개통대비
  4. 교통개발연구원(2003), 고속철도교통시대를 위한 국가교통체계 연구(1단계)
  5. 국토연구원(2003),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국토공 간구조의 변화전망 및 대응방안 연구
  6. 국토연구원(2004), 고속철도 개통이 지방의 경제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 연구
  7. 국토연구원(2004), 고속철도 지방대도시 정차역의 연계교통권역 설정 및 연계통행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8. 서진수(2001), RP/SP 통합자료를 이용한 도시간 여객의 수단선택에 관한 연구: 서울-부산간을 대상 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윤대식(2001), 교통수요분석, 서울: 박영사
  10. 윤대식․윤성순(2004), 도시모형론, 제3판, 서울: 홍문사
  11. 하태준․박제진․이상하(2002), '고속철도 도입에 따른 교통수단선택모형 추정 및 수단전환율의 비 교', 국토계획, 제37권 제6호, 대한국토․도시계 획학회
  12. 한국개발연구원(2001), 도로부문사업의 예비타당 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3판)
  13.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1996), 고속전철 개통 이 고속도로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2003), 경부고속철도 연계교 통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연구
  15. Greene, W. H.(1991), LIMDEP User's Manual and Reference Guide, Version 7.0, Bellport: Econometric Software, Inc
  16. Gunn, H. R., M. A. Bradley, and D. A. Hensher(1992), 'High Speed Rail Market Projection: Survey Design and Analysis', Transportation, Vol. 19
  17. McFadden, D.(1976), The Theory and Practice of Disaggregate Demand Forecasting for Various Modes of Urban Transpo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Working Paper, No. 7623
  18. McFadden, D.(1981), 'Econometric Models of Probabilistic Choice', In Structural Analysis of Discrete Data with Econometric Applications, C. F. Manski and D. McFadden, eds., Cambridge: The MIT Press
  19. Nuzzolo, A., U. Crisalli, and F. Gangemi(2000), 'A Behavioural Choice Model for the Evaluation of Railway Supply and Pricing Policies', Transportation Research A, Vol. 25, No. 5
  20. Ortuzar, J. de D. and A. Iacobelli(1998), 'Mixed Modelling of Interurban Trips by Coach and Train', Transportation Research A, Vol. 32, No. 5
  21. Train, K.(1986), Qualitative Choice Analysis: Theory, Econometrics, and an Application to Automobile Demand, Cambridge: The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