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화력발전소 녹지공간의 식재현황 및 생태적 특성 분석

Planting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at the Dangjin Steam Power Plant

  • 발행 : 2006.02.01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lanting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on spaces on the grounds of e Dangjin steam power plant. To achieve these goals, we surveyed existing vegetation, plant community structure, Plant volume and growth rate. Based on e vegetation analysis, existing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six types: herbaceous species $(70.54\%)$, evergreen coniferous trees $(21.17\%)$, deciduous broad-leaved trees $(5.10\%)$, deciduous coniferous trees $(1.47\%)$, shrubs $(0.12\%)$, and other types $(1.59\%)$. The coal storage, office, and playground areas were community is the natural forest area where a Pinus thunbergii / Pinus densiflora community is distributed in terms of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diversity, plant volume, and growth rate. The artificial green spaces(near the coal storage, office, playground areas) had a single-layer structure.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the artificial green areas were $0.1655\~0.4807$ compared to 0.8628 in the natural forest, which presented a good growth environment. Also, the plant volume in the artificial green space was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 green space.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develope a multi-layer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vegetation in the natural green space in order to improve the amount of plant volume. The plant-damage ratio of Pinus thunbergii was $52.48\%$ in the coal storage area, and $8.48\~ 11.52\%$, in the other survey areas. Also, the vitality of Pinus thunbergii was $15.45k{\Omega}$ in the coal storage areas, which indicates bad growing conditions. This suggests that soil characteristics and dust have a bad impact on growth. The investigation into deciduous tres' growth status showed that appropriate plants would be Albizzia julibrissin, Acer palmatum var. sanguineum, Acer palmatum, Malus spp., Prunus sargentii.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경(1995) 녹지축 연결을 통한 생태공간조성계획.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전오, 이경재, 장상항(2004) 인천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식재모델 연구(I) 한국조경학회지 31 (6): 53-63
  3. 김동완(1999) 서울 양재 시민의 숲 배식 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석규, 박승범, 남정철, 김승환(2002) 도시공원녹지의 입지 환경과 토양특성이 식생구조와 수목활력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5): 30-44
  5.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현수, 이상석, 이상철(2003) 임해매립지 조경수목의 생리적 특성과 식재수목의 고사율. 한국조경학회지 31(2): 94-101
  7. 박현숙(1992) 모감주나무군락의 구조 및 유지기작.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오휘영, 최병권(1999) 임해매립지에 대한 효율적인 녹지조성의 타당성검토에 관한 연구 -영종도 신공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식물 . 인간 . 환경학회지 2(2): 68-75
  9. 이경준, 이승제(2001) 조경수 식재관리기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이시영, 김신원(2002) 강원도 지방경찰청 조경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0(2): 79-87
  11. 이시영, 조광영, 김신원(2005) 영흥 에너지 테마파크 조경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3(2): 100-110
  12. 이종석(1980) 내염성 및 내조풍성 조경수목 개발에 관한 생태학적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8(1): 13-19
  13. 조우(1998) 도시지역 녹회공간의 배식기법 -공동주택단지 완충 녹지의 배식-. 환경생태학회지 12(1): 78-90
  14. 조우(2000) 인천시 해안매립지 녹지조성 기법 개발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보고서
  15. 최일홍, 황경희(2000) 임해매립지 식재기반 조성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보고서
  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8) 생태도시 조성 기반기술 개발사업 (II). 환경부
  17. 한국남동발전(2004) 영흥에너지파크 신축 설계용역 현상설계 지침서. 한국남동발전(주) 건설처
  18.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올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Curtis, J. T. and R. P. Mcl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0. Magee, G. S.(1983) Native Plant Communities as a Model for Vegetating Detention Basins in the Georgia Piedmont. MS Thesis. University of Georgia, Atlanta
  21. Pielou, E. C.(1975) Mathematical Ec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22. http://www.kew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