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New Trends of Managers' Leadership Styl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 전경철 (경기대학교대학원 관광학)
  • 발행 : 2006.04.30

초록

최근의 외식산업은 치열한 경쟁력과 함께 인력수급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인적서비스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시 되면서 리더십에 대한 연구가 호텔과 패밀리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종사자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식산업에서의 최근 연구동향을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살펴보면 첫째, 외식산업에서 직속상사를 포함한 관리자와 종사자에 관한 국내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외식산업 관리자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최근의 변화한 조직내 구성원에 대한 실증연구를 토대로 호텔과 패밀리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과거 대부분의 종사자에 대한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등의 연구가 임금이나 승진 등에 초점을 두었는데 과거보다 학벌수준이 높고 젊은 층이 많은 조직내 구성원에 대한 조직문화에 초점을 둔 시대의 흐름에 맞는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각기 독립적으로 연구에서 관리자의 리더십이라는 하나의 틀 속에서 분석해 실증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업의 핵심인재의 관리와 함께 금전적 보상체계의 개혁뿐 아니라 비금전적 차원에서의 배려나 지원이 요구된다. 네째, 외식산업 관리자의 역할 또한 전문가로서 평생직장의 개념보다 평생직업으로서 자신의 능력과 함께 매뉴얼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구성원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훈련을 시킬 수 있는 리더십개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환경과 조직문화에 따라 리더십 유형의 적용이나 선택이 외식업채 특성에 맞는 실증적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진행되어야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e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MX approach to the study of leadership. Leadership research has witnessed a shift from traditional transactional models to a new genre of theories of transformational and charismatic leadership and LMX.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ies offer the promise of extraordinar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Leaders motivate followers to perform beyond expected levels by activating higher order needs, fostering a climate of trust, and inducing them to transcend their self-interest for the organization's sake. Numerous investigations point of the robustness of the effects of such leadership o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formance. LMX theory suggests that leaders do not use the same style in dealing with all subordinates, but rather develop a different type of relationship or exchange with each subordinate. These relationships range from those that are based strictly on employment contracts to those that are characterized by mutual trust, respect, liking, and reciprocal influence. LMX has been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productivity, and career progress of managers and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and employee grievances. In conclusions, effective leaders link achievement of organizational goals to follower fulfillment of self-development goals, with the former advancing the latt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