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관리자와 여성관리자의 사회 네트워크 비교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 to Middle Management

  • 전수진 (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 발행 : 2006.04.30

초록

교육기회의 확대와 더불어 인적 자본을 축적한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상위 직급으로 갈수록 여성이 줄어드는 조직 내 인구 통계학적 구조 때문에 여성관리자는 남성관리자에 비해 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500인 이상 대기업의 중간관리자(과장, 차장, 부장) 402명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관리자는 여성관리자보다 업무 네트워크를 더 강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관리자는 남성관리자에 비해 업무 외 네트워크 구축에 더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구조상 남성이 다수를 차지하여 유유상종 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는 여성관리자가 남성관리자와의 업무 네트워크 구축보다는 같은 여성들과의 업무 외 네트워크 구축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f male managers and female managers. To achieve purpose of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in large Korean companie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and 402 samples were restricted to middle manag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managers have more strong instrumental network than female mangers while female mangers have more focused on expressive network than male mangers. Second,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of male managers are smaller size but stronger intimacy and higher status than that of female mangers. This means that social network of male managers are more qualitative than that of female manag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