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lure Prediction and Behavior of Cut-Slope based on Measured Data

계측결과에 의한 절토사면의 거동 및 파괴예측

  • 장서용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한희수 (금오공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종렬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마봉덕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6.02.01
  • Published : 2006.05.30

Abstract

To analyze the deformation and failure of slopes, generally, two types of model, Polynomial model and Growth model, are applied. These two models are focused on the behavior of the slope by time. Therefore, this research is more focused on predicting of slope failure than analyzing the slope behavior by time. Generally, Growth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soil slope, to the contrary, Polynomial model is used for rock slope. However, 3-degree polynomial($y=ax^3+bx^2+cx+d$) is suggested to combine two models in this research. The main trait of this model is having an asymptote. The fields to adopt this model are Gosujae Danyang(soil slope) and Youngduk slope(rock slope), which are the cut-slope near national road. Data from Gosujae are shown the failure traits of soil slope, to the contrary, those of Youngduk slope are shown the traits of rock slope. From the real-time monitoring data of the slope, 3-degree polynomial is proved as excellent system to analyze the failure and behavior of slope. In case of Polynomial model, even if the order of polynomials is increased, the $R^2$ value and shape of the curve-fitted graph is almost the same.

사면거동 및 파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암반사면에는 Polynomial model, 토사사면에는 Growth model을 별도로 적용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 기법은 사면의 파괴예측보다 사면의 누적변위를 묘사하기 위한 그래프 형태 위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거동보다는 파괴 예측에 초점을 맞추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모델을 병합하여 파괴예측을 위한 Asymptote(점근선)과 누적변위량도 같이 묘사할 수 있는 3차 방정식 모델 (3-degree polynomial model)로 단일화 할 것을 제안하여 현장 계측 data를 분석하였다. 국도 절취 사면부인 단양군 고수재 사면과 영덕군 축산면에 위치한 영덕 사면에 본 해석 모델을 적용하였다. 고수재는 토사사면으로 Growth model에 다른 거동을 나타내었고, 영덕사면은 Polynomial model에 따른 거동을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Polynomial model 과 Growth model로 구분된 해석 모델 형태를 $y=ax^3+bx^2+cx+d$ 의 형태를 가지는 3차 방정식을 사용하면, 하나의 모델로 사면의 거동 및 파괴를 해석할 수 있으며, 그 거동 해석 및 파괴 예측능력이 더 우수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Polynomial model의 경우, 방정식의 차수를 증가시켜도, 그래프의 $R^2$값과 형태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호본, 이종현, 김승현, 유기정, 김진환, 이정엽, "2003년 도로절토사면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연구부 사이버 연구성과 발표회, 2004.
  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절토사면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용", I-VI, 2004.
  3. Fukuzono T., "A New Method for Predicting the Failure Time of Slope", Proceedings of 4th I.C.F.L., Tokyo, 1985, pp 145-150.
  4. Fukuzono T., "Recent studies on time prediction of slope failure", Landslide News, Vol. 4, 1990, pp 9-12.
  5. Hayashi, S., "On the Forecast of Time to Failure of Slope(II)-Approximate Forecast in Early Period of the Teriary Creep", Journal of Japanese Landslide Society, Vol. 25, 1988, pp 11-16.
  6. Saito, M., "Forecasting the Time of Occurrence of a Slope Failure", Proc. of 6th I.C.S.M.F.E, Vol. 2, 1965, pp 537-541.
  7. Saito, M., "Forecasting Time of Slope Failure by Tertiary Creep", Proc. of 7th I.C.S.M.F.E, Vol. 2, 1969, pp 677-683.
  8. Salt, G., "Landslide mobility and Remedial Measure", Proc. of 5th I.S.L, Vol. 1, 1988, pp 757-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