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Forest Recreation Forecasting Model Using Panel Date

패널자료를 이용한 산림휴양의 장기수급예측 모형의 개발

  • Received : 2006.02.13
  • Accepted : 2006.05.03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model which can predict a long-term of forest recreation quantity corresponded with econometrics. Simultaneous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ment of practical matrix which is able to apply forest recreation management with policy-control variables about forest supplement with some problem of former study using only a cross-section analysis. As the results of analyses, forest recreation quantity is affected (-) relation by distance, (+) relation by population of the origin area, the size of forest, and a destination's annual social expenditure. In addition, the distance variable is elastic, however, the other variables are inelastic. This results might correspond to a general gravity model theory about forest recreation quantity.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휴양량의 장기 예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모형개발을 시도하였으며, 특히, 계량경제모형에 부합하고 동시에 산림휴양에 대한 정책적 조절변수들을 발굴하여 산림휴양정책에 활용가능한 실용적 모형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전의 선행연구들이 사용한 횡단면 분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횡단면자료와 시계열자료를 통합한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산림휴양량은 두 지역간의 거리와는 음(-)의 관계를 보이는 반면 출발지 인구와 목적지 산림면적, 그리고 정책변수로 상정된 목적지의 사회개발세출액과는 양(+)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리변수는 탄력적인 반면, 나머지 독립변수들은 모두 산림휴양량과는 비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역간의 산림휴양량은 일반적인 중력모형(gravity model) 이론과 일치하는 패턴은 따르고 있다 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산림자원의 장기수급예측 통합모델 개발

Supported by : 국립산림과학원

References

  1. 교통개발연구원. 1988. 장기관광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2. 국토개발연구원. 1998. 휴양/위락행태의 변화 및 공간확보 방안연구: 관광/위락행태분석 및 변화전망을 중심으로. 국토연 88-17
  3. 김재준, 유병일, 김성일, 김통일, 주린원, 유리화. 2003. 우리나라 산림휴양실태 및 수요전망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03-10호
  4. 김재준, 유병일, 김성일, 김통일, 주린원, 유리화. 2003.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산림 임업분야 영향 및 대응 방안. 임업 연구원 연구보고 '03-07호
  5. 산림청 2001.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보고서
  6. 산림청. 2002. 주5일 근무제를 대비한 산림휴양종합대책 수립. 한국공원휴양학회
  7. 신원섭 1998. 야외휴양관리. 도서출판 따님 환경신서
  8. 윤여창, 윤영얼. 1996. 산림휴양수요의 예측 : 10개 산악 형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4(2): 29-36
  9. 이상돈, 이종원. 2004. RATS를 이용한 계량경제분석. 박영사
  10. 통계청. 2001. 사회통계조사결과. 통계청
  11. Cordell, H.K., B.K. English, and S.A. Randall. 1993. Effects of Subdivision and Access Restrictions on Private Land Recreation Opportunities. Rocke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General Technical Paper RM2.31.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2. Cordell. K.K. and J.C. Bergstrom. 1989. Theory and Techniques tor Assessing the Demand and Supply of Outdoor Recreation in the United States. Southeast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Research Paper SE-27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3. Crompton, J.L. 1979. Motivation for pleasure voc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6: 408-424 https://doi.org/10.1016/0160-7383(79)90004-5
  14. Dann, G. 1976. The Holiday was simply fantastic. The Tourist Review 31 (3): 19-13 https://doi.org/10.1108/eb057732
  15. Dwyer, J.F. 1994. Customer Diversity and the Future Demand for Outdoor Recreation. Rocke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General Technical Paper RM-252.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6. English, B.K., C.J. Betz, and J.M. Young, J.C. Bergstrom, and H.K. Cordell. 1993. Regional Demand and Supply Projections for Outdoor Recreation. Rocke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General Tcchnical Paper RM-23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7. Pyo, S., B. Mihalik, and M. Uysal. 1989. Attraction attributes and motivations: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nals of Tourism Research 16: 277-282 https://doi.org/10.1016/0160-7383(89)90077-7
  18. Uysal, M. and L.A. Hagan. 1993. Motivation of Pleasure Travel and Tourism. In Encyclopedia of Hospitality and Tourism, M. Khan, M. Olsen and T. Var, eds., pp. 798-810. New York: VN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