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교육에서 TRIZ(창의적 문제해결 이론)의 적용 방안 탐색

Exploring Strategies for Applying TRIZ to Technology Education

  • 투고 : 2006.10.30
  • 심사 : 2006.12.20
  • 발행 : 2006.09.30

초록

이 연구는 기술과 교육에서 TRIZ의 도입 가능성과 적용 방안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TRIZ가 갖는 강력한 잠재력을 과연 초 중등 기술과 교육에 도입할 수 있는지,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총체적인 탐색을 통해 기술과 교육에서 추구하는 기술적 창의력과 기술적 문제 해결력을 학교 현장에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Contradiction, 40 Principles, 76 Standard solutions, Multi screen method, Effects, The law of technology evolution, ARIZ 등의 TRIZ 개념과 핵심 원리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초 중등 기술과 교육에서 TRIZ의 도입 가능성과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 중등 기술과 교육에서 모순, 40가지 원리, 76가지 표준해, 다차원 분석, 자연 효과, 기술 진화 법칙, ARIZ 등과 같은 TRIZ의 기본 개념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방안을 각각 제시하고 이들에 대하여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40가지 원리'만 초 중등 기술 교육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40가지 원리 중에서 초등 기술 교육에서는 분할 나누기, 추출 제거, 국부적 특성, 비대칭, 병합 동시 수행, 다용도 범용성, 균형 유지, 반대 조치, 매개체 사용, 자체 해결, 값 싼 물체로 대체 일회용, 유연하고 얇은 막 사용, 색상 변화, 동질성, 폐기와 재생, 복합 재료 등과 같은 15가지 원리가 적합하며, 중등 기술 교육에서는 분할 나누기, 추출 제거, 국부적 특성, 비대칭, 병합 동시 수행, 다용도 범용성, 균형 유지, 사전 반대 조치, 사전 조치, 사전 예방, 반대 조치, 자유도 증가, 조금 덜 또는 조금 더, 유용한 조치의 지속, 해로운 것을 이로운 것으로 전환, 매개체 사용, 자체 해결, 값 싼 물체로 대체 일회용), 유연하고 얇은 막 사용, 색상 변화, 동질성, 폐기와 재생, 특성 변화, 상태 전이, 열팽창, 복합 재료 등과 같은 26가지 원리가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applying TRIZ to technology educ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contradiction, 40 principles, 76 standard solutions, multi screen method, effects, the law of technology evolution, and ARIZ, and questionnaire survey to investigate the validity. Through this study the strategies for applying TRIZ to technology education were proposed and the validity was identified. Only the '40 Principles' was appropriate to technolog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segmentation, extraction, local quality, asymmetry, consolidation, universality, counterweight, do it in reverse, mediator, self service, dispose, flexible membranes or thin films, changing the color, homogeneity, rejecting and regenerating parts, and composite materials were suitable. And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segmentation, extraction, local quality, asymmetry, consolidation, universality, counterweight, prior counteraction, prior action, cushion in advance, do it in reverse, dynamicity, partial or excessive action, continuity of useful action, convert harm into benefit, mediator, self service, dispose, flexible membranes or thin films, changing the color, homogeneity, rejecting and regenerating parts, transformation of properties, phase transition, thermal expansion, and composite materials were suitabl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

참고문헌

  1. 김용익(2004). 문제중심학습을 교육대학교 초등 생활기술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 모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7(2), 1-18
  2. 김용익(2006). 초등 실과교과에 TRIZ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1), 57-74
  3. 김익수(2006).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생들의 행동목표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4. 김병재, 박성균(2005). 알기쉬운 트리즈 -창의적 문제해결 이론-. 도서출판 인터비젼
  5. 김현수, 오국진(2005). TRIZ NFTM-TRIZ 지속적인 창의력 시스템. 도서출판 인터비젼
  6. 김효준, 정진하, 권정휘(2004). 생각의 창의성 TRIZ. 지혜
  7. 류창열(2004).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기술교육 방향 재정립을 위한 기술학의 정의와 교육실천방안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4(1), 13-25
  8. 문대영(2001). 초.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분담 문제해결 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9. 박영택, 박수동(1999). 발명특허의 과학, 현실과미래
  10. 정진현(2003). 뇌과학과 실과를 통한 창의적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3), 91-106
  11. 조승호, 정종완(2006). TRIZ(트리즈)를 활용한 발명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1), 86-109
  12. 최유현(1995). 기술교과 교육에 있어서 기술적 교양 목표 성취를 위한 문제해결 수업전략의 효과.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13. Altshuller, G. S. (1994). And suddenly the inventor appeared. Technical Innovation Center
  14. Atkins, R. (1998). Creativity in a Russian elementary school. The Triz Journal, 1998.2.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15. Domb, E. (1998). Increase creativity to imprive quality. The Triz Journal, 1998.12.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16. Hyatt, M. (1999). Overview of metaphoric models for creativity. The Triz Journal, 1999.11.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17. Hyatt, M. (2002). An overview of synoptics and the six challenges of creativity. The Triz Journal, 2002.10.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18. Johnson, S. D. (1994). Research on problem solving instruction: What works, what doesn't? The Technology Teacher, 54(5), 27-29, 36
  19. Kowalick, J. (1998). Creativity breakthroughs with children using higher level thinking. The Triz Journal, 1998.2.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20. Kowalick, J. (1999). Problem solving system: What's next after TRIZ? The Triz Journal, 1999.3.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21.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22. Maley, D. (1986). Reseach and experimentation in technology education: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in the technology laboratory. Reston, VA: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23. Mann, D. (2001). TRIZ thinking hats. The Triz Journal, 2001.3.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24. Mann, D. (2002). Evolving the inventive principles. The Triz Journal, 2002.8.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25. Marsh, D. G., Waters, F. H. & Marsh, T. D.(2004), 40 Inventive principles with applications in education. The Triz Journal, 2004.4.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26. McCade, J. (1990). Problem solving: Much more than just desig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2(1), 29-42
  27. Schweizer, T. P. (2002). Integrating TRIZ into curriculum: an educational imperative. The Triz Journal, 2002.11.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28. Sellwood, P. (1989). The role of problem solving in developing thinking skills. The Technology Teacher, 49(8), 3-10
  29. Waetjen, W. B. (1989).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 a proposal. Reston, VA: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34 464)
  30. Yi, S. (1996).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education at secondary level as perceived by technology educator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31. Zlotin, B. & Zusman, A. (1999). TRIZ and pedagogy. The Triz Journal, 1999.10.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mal.com]
  32. Zlotin, B., Zusman, A., Kaplan, L., Visnepolschi, S., Proseanic, V. & Malkin, S. (2001). TRIZ beyond technology: The theory and practice of applying TRIZ to non-technical areas. The Triz Journal, 2001.1.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rnal.com]
  33. Zusman, A. & Zlotin, B. (1999). Overview of creative methods. The Triz Journal, 1999.7. [online available http://www.triz-jouma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