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학년별 성별 비만실태

A Study of the Degree of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 조인숙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 박인혜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 류현숙 (서남대학교 간호학과) ;
  • 박요섭 (광주광역시 광산구 보건소) ;
  • 황선례 (광주광역시 광산구 보건소) ;
  • 안현희 (광주광역시 광산구 보건소)
  • Cho, In-sook (Department of Nursing, Gwangju Women's University) ;
  • Park, In-hyae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
  • Ryu, Hyun-sook (Department of Nursing, Seonam University) ;
  • Park, Yo-sup (Gwang-Ju City Gwangsan Community Health Center) ;
  • Hwang, Sen-lye (Gwang-Ju City Gwangsan Community Health Center) ;
  • Ahan, hyun-hee (Gwang-Ju City Gwangsan Community Health Center)
  • 발행 : 2006.09.30

초록

2004년 5월부터 7월까지 광주광역시 일부지역 관내 28개 초등학교 31,510명(남자 16,653명, 여자 14,857명)의 신장과 체중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한소아과학회(홍창희, 2003)에서 나온 소아발육표준치를 기준으로 신장별 표준 체중표를 이용하여 비만도(%)=(실측체중-신장별 표준체중)/신장별 표준체중*100로 산출하였다. 산출된 비만도는 20~29.9%는 경도비만, 30~49.9%는 중증도 비만, 50%이상은 고도비만으로 분류하여 SAS PC+ 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장과 체중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학년 간에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p<.001). 저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신장이 작았으나 4학년때 키가 비슷해지고 5, 6학년에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신장이 큰것으로 나타났으며, 4학년을 제외한 모든 학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신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모든 학년에서 남학생의 체중은 여학생의 체중보다 무거웠으며, 6학년을 제외하고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체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2. 초등학교 학생의 비만율은 전체가 10.3%이었고, 남학생 (11.6%)이 여학생(8.8%)보다 비만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특히 4학년 남학생의 비만율이 13.7%로 가장 높았다. 비만아동의 분포는 남학생의 경우는 경도비만이 6.5%, 중등도비만 4.4%, 고도비만 0.7% 순이었고, 여학생의 경우는 경도비만 5.2%, 중등도비만 3.1%, 고도비만 0.4% 순으로 나타났다. 3. 비만도별 비만아동 실태는 전체 비만아동은 3,231명으로 경도비만이 57.4%, 중등도비만이 37.1%, 고도비만이 5.5%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는 경도비만 55.9%, 중등도비만 38.0%, 고도비만 6.0% 순이었고, 여학생의 경우는 경도비만 59.5%, 중등도비만 35.8%, 고도비만 4.7%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도가 30% 이상인 중증도 이상의 비만아동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4. 학년에 대한 성별 비만율은 1학년 (p< .05), 4-6학년 (p< .001)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만율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고학년 학생 (11.0%)의 비만율이 저학년학생(9.5%)보다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초등학생의 비만율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에서, 저학년보다 고학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아동비만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질병의 이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비만을 예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되, 비만율이 높은 고학년의 남학생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야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31, 519(16,653 boys, 14,857 gir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besity at a district in Gwangju City. It can be applied to develope an educational program of the obesity control as basic data in this local area Methods: The data collected from May, 2004 to July, 2004 were analyzed by SAS PC+ 8.0 program. Children were selected depending on criteria from obesity index (%) by using physical index (height, body weight), and then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mild(20~29.9%), moderate(30~49.9%), and severe($?50%{\cdot}$) obesity. Results: It showed that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higher and heavier than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p< .001) in every grade except the 4th grade(height) and the 6th grade ( body weight). The obesity rates of male students(11.6%) showed higher(p< .001)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8.8%). Specially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were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in obesity(13.7%). As a whole, the prevalence of obestiy showed mild(5.9%), moderate(3.8%), and severe(0.6%). 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e of obesity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The obesity of 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e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except 2-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p< .001). The obesity of 4~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rate than those of 1~3rd grade students(p< .001). Conclusions: The obesity rates of male students a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nd the obesity rates of 4~6th grade students are higher than those of 1-3rd grad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Additional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may be needed to prevent obesity of children.

키워드

참고문헌

  1. WHO.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health and development. 1999:WHO/FCH/ CAH/ 00.20
  2. 민용식. 식생활의 서구화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소아비만의 실태. 성인병과 건강 2001 :3:48-55
  3.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고려의학, 서울, 1995;171-179
  4. 정명숙, 노영일, 정은경, 문경래, 박상기, 박영봉, 류소연, 박종. 광주지역 초등학교 아동으 비만정도 및 그 관련요인에 관한 조사. 소아과 1995:38:1547-1557
  5. 부산시교육청. 학교신체검사 통계자료, 1998
  6. 보건복지부. 국민건강, 영양조사, 2002
  7. Knettle L. Obesity in childhood: A problem in adipose tissue cellular development. J. Pediatr 1972: 81: 10481059 https://doi.org/10.1016/S0022-3476(72)80231-2
  8. Kinugasa A, Kusunolci T. Dietary treatment of child obese. In .. Progress in obesity Oomura, Y(ed). John Libbey & Comp, Ltd., London, 1991, pp549
  9. Herald FP. Nature history and physiological basis of adolescent obesity. Fed. proc 1996; 23: 1-3
  10. Newman WP, Freedman DS, Voors A W. Serum lipoprotains and systolic blood pressure are related to a therosclerosis in early life: the Bogalusa Heart Study. N Engl J Med 1986:138-143
  11. Smoke CG, Burke GL, Webber LS, Harsar DW, Srinivasan SS, Berenson. Relation of obesity to clustering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children and young adult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Epidemiol 1987:125:364-372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114543
  12. 문경래, 박영봉. 광주시내 국민학교 아동의 비만도 조사. 소아과 1993:36(1):81-87
  13. 김현아, 김은경. 학령기 비만아동을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실시 및 효과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1996:29(3):307-320
  14. 김은희. 소아, 청소년 비만의 원인과 대책. 스포츠건강의학 교양지 2000:2:143-147
  15. 김기학, 김현경, 이동주, 박정화. 아동의 비 만 실태와 그에 관련된 환경조건 분석 및 비만판정기준 작성. 한국체육학회지 1995:34(2):259-276
  16. 홍창희. 소아과학 제 7판. 대한교과서주식 회사, 서울. 2003. 쪽98 -99
  17. 송윤주, 정효지, 김영남, 백희영. 서울지역 일부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발달 및 식생 활 비교 연구: 체조성 변화와 비만실태 (I). 한국영양학회지 2006:39(1):44-49
  18. 김효실, 김현이, 홍성철. 제주시내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의 비만실태 및 비만관 련 요인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002:27(1) : 66-80
  19. 정영진, 한장일. 대전시내 일부 초등학교 5 학년 남학생의 비만실태 및 생화습관과 부 모의 특성과의 관련성. 한국영양학회지 2000:33(4) :421-428
  20. 김은경, 최양숙, 조운형, 지경아. 강릉과 서 울의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비만 발생에 관한 연구: 지역 및 부모의 사회, 경제적 수준이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001:34(2):198-212
  21. 최철영.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0
  22. 교육인적자원부. 통계연감 - 청소년 건강 평가자료(학생 체격 검사 현황). 2004
  23. 박종, 류소연, 이철갑, 안현옥, 박영붕, 박상기, 문경래, 양은석,노영일,배학연.초등 학교 아동들의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비만학회지 1998:7(2):134-141
  24. 김경애, 권인숙, 권정숙. 경북 북부 초등학 생의 비만과 심혈관계질환 위험도간의 상 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2001: 34(6) :664-670
  25. 김형배. 원주시 지역 성장기 아동의 비만과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교육 대학원. 2000
  26. 강윤주, 홍창호, 홍영진. 서울시내 초, 중, 고 학생들의 최근 18년간(1979-1996) 비만 도 변화 추이 및 비만아 증가 양상. 한국영양학회지 1997:30(7) :832-839
  27. Himes JH. Dietz WH. Guidelines for overweight in adolescent preventive services-recommendation from an expect committee. Am J Clin Nutr 1994:59: 307-316 https://doi.org/10.1093/ajcn/59.2.307
  28. 이홍규. 체중과 건강위험. 제 5차 대한비만 학회 춘계학술대회. 1996:1-9
  29. 강윤주. 비만청소년의 12년 간 Body Mass Index의 변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석사 논문. 1994
  30. 박진경, 안홍석, 이동환. 버만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단계별 영양교육 프로그햄의 효과 에 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2001:10(2): 165-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