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 of Joint-Orientation and Monitoring of Displacement in Tunnel using 3D Laser Scanning System

3차원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한 불연속면의 방향성 측정과 터널 변위 모니터링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More than 70% of Korean Peninsula is consisted of mountains, so that lots of roads, rail-roads and tunnel,which play a pivotal role in the industry activity, are existed along the rock-slope and in the rock-mass. Thus,it is urgent that tegration of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optimum survey and design of rock-slope excavation, proper stabilization method and database of rock-slope. However, conventional methods have shortcoming with the economy of survey time and human resources, and the overcome of difficulties of approach to the in-situ rock-slop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onventional method, this paper proposed the development of remote measurement system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System. The method using Terrestrial 3D Laser Scanning System, which can get 3D spatial information on the rock-slope and2)Dept. Geosystem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tunnel, has an advantage of reduction of measurement time and the overcome of difficulties of approach to the in-situ rock-slope/dam/tunnel. In the case of rock-slope, through the analysis of 3D modeling of point-cloud by Terrestrial Laser Scanning System, orientation of discontinuity, roughness of joint surface, failure shape and volume were successively achieved. in the case of tunnel face, through reverse-engineering, monitoring of displacement was possible.

국내 지형의 약 70%는 산악지역이며, 도로, 철도 및 터널 등에는 무수한 암반 불연속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암반 불연속면의 조사, 안정성 분석 및 합리적인 안정화 대책공법 등의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존의 암반 불연속면 조사방법은 인력, 시간 및 현장 접근성 등의 여러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한 방법으로현재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군(群)을 얻을 수 있는 지상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활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지상 레이저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은 측정시간이 짧고, 대절토사면 및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측량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반사면의 안정성 분석, 댐체 및 터널내부의 변위특성을 지상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좌표)를 갖는 측점운(測點雲: point-cloud)을 측정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암반사면의 경우, 실제 암반사면의 3D 모델링 결과로부터 불연속면의 방향성 추출, 파괴형태 분석, 절리면의 거칠기 정량화 및 붕괴체적 등을 구할 수 있었다. 댐체 및 터널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에는 역설계를 수행하여, 설계도면과의 오차 확인 및 구조물의 변위측정 등 안전진단에 활용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욱, 윤운상, 노남균, 손호웅, 김영경, 최성순, 김성구, 정찬균, 2004, 레이져스케너와 BB-Model을 이용한 확률론적 암반 사면 안정 해석 사례 연구, 대한지질학회 계학술발표회 초록집, 22-23
  2. 박병윤, 권상기, 2000, 암반 절리 거칠기의 정량화에 대한 연구현황 분석, 한국암반공학회
  3. 이인모, 홍은수, 배석일, 이석원, 2002, 암석의 절리면 거칠기 정량화 기법 개발을 통한 절리면 전단강도 특성 분석,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8권 4호
  4. 천병식, 김대영, 2001, 암석 절리면 거칠기의 정량화에 대한 수치적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7권 제1호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시간 열화 특성을 고려한 터널갱구사면 안정성 기법 및 상시 계측 시스템 개발, 89p
  6. Barton, N. R. and Choubey, V., 1977, The shear strength of Rock joints in the theory and practice, Rock Mechanics, 1, 54
  7. Barton, N. R., 1976, The shear strength of rock and rock joint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13, pp. 255-279 https://doi.org/10.1016/0148-9062(76)90003-6
  8. Barton, N. R., 1973, Review of a new shear strength criterion for rock joints. Engineering Geology, 7, 287-332 https://doi.org/10.1016/0013-7952(73)90013-6
  9. Boehler, W., Heinz, G. and Marbs, A., 2002, The potential of non-contact close range laser scanners for cultural heritage recording, Surveying, 28, 289-295
  10. Blais, F., Beraldin, J. A. and EI-Hakim, S.F., 2000, Range Error Analysis of an Integrated Time-of-Flight, Triangulation, and Photogrammetry 3D Laser Scanning System
  11. Fardin, N., Jing, L. and Stephansson, O., 2000, Heterogeneity and anisotropy of roughness of rock joint
  12. Giani, G. P., 1992, Rock Slope Stability Analysis, A.A.Balkema, p.361
  13. Goodman, R. E., 1970, The deformability of joints, ASTM Spec. Tech. Publ. 477, pp. 174-196
  14. Lee, K., 1999, Principles of CAD/CAM/CAE systems, Addison Wesley Longman, Inc., 445p
  15. Petrie, G. and Kennie, T. J. M, 1987, Terrain modeling in Survey and Civil Engineering Computer Aided Design, Volume 19, number 4
  16. Patton, F. D., 1996, Multiple modes of shear failure in rock, Proc. 1st Cong. ISRM(Lisbon), Vol. 1, pp. 509-513
  17. Sloan, S. W. and Houlsby, G. T., 1984, An Implementation of Watson's Algorithm for Constructing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s,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Vol 2, No 3
  18. TSE, R. and Cruden, D., 1979, Estimating Joint Roughness Coefficients,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 16, 303-307 https://doi.org/10.1016/0148-9062(79)90241-9
  19. Vollmer, J., Mencl, R. and Muller, H., 1992, Improved laplacian smoothing of noisy surface meshes, In Computer Graphics Forum (Proc. Eurographics), Vol. 26, pp. 5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