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단기소득 임산물의 전환비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Ratios Between types of Main Non-timber Products

  • Lee, Sang-Min (Division of Forest Policy Research,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 Kang, Gap-Su (Forest Business Office,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s Federation) ;
  • Shon, Cheol-Ho (Forestry Management Department,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s Federation)
  • 투고 : 2006.03.15
  • 심사 : 2006.04.10
  • 발행 : 2006.09.30

초록

임산물 생산통계 조사요령은 생산자 판매시점에서 품목별 특정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집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생산자 판매형태와 조사기준 형태가 상이하므로 기준형태로 통일하여 집계하기 위해서는 전환비율이 반드시 필요하나, 현재로서는 그 비율이 제시되지 않아 통계자료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전환비율을 찾아내고 적용하여 좀 더 현실에 가까운 생산통계를 작성하는 것은 임산물 생산통계 집계에 있어 매우 시급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환비율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주요 단기소득 임산물을 대상으로 통계집계 실태를 파악하고, 실험을 통해 산출된 전환비율을 적용하여 개선된 임산물 생산통계 집계체제를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이 되는 10개의 품목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실제로 집계현장에서 경험을 통해 파악하고 있는 고사리, 취나물, 대추, 오미자 등의 건조율은 실험을 통하여 산출된 수치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건조율 수치가 생산동계 집계에 직접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건조율과 가공율을 이용하여 2004년에 집계된 조사대상품목의 생산량을 새롭게 계산해보면 품목의 생산량이 -41%에서 474%까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환비율은 한 해의 자료에 불과하므로 정확한 비율산출을 위해 장기적인 검증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있다.

The survey guideline of forest products statistics suggests a certain type of standard to aggregate production amount of each item such as dry bracken, raw dates, cracked nuts, It does not, however, give any information about transition ratios, which would apply to convert weights of fresh bracken into dry one, or cracked nuts into the non-cracked. This has been one of the main factors which would make the statistics unrel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ggregation realities and to put forward some proposals to improve forest products statistics with transition ratios. Targets of this study are 10 forest products that are strongly related to the mentioned problems. With the calculated transition ratios and some assumptions the changing rate of the official statistics of 2004 production amounts ranged from -41% to 474% for the 10 subjects. The suggested figures for transitions are based only on one-year analysis results. Therefore more period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the reliability, and this study would be a good starting point.

키워드

참고문헌

  1. 산림청. 2005. 임산물생산통계. pp840
  2. 농림부. 2005. 작물통계. pp225
  3. 日本 林野廳. 2004. 特用林産基礎資料. 林政部經營課 特用林産對策室
  4. 日本 林野廳. 2005. 特用林産物需給動態調査實施要領
  5. 女子榮養大學. 2005. 食品成分表2006. 女子榮養大學出版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