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ult structures in the Chukaryong Rift Valley

의정부(議政府)-동두천(東豆川), 의정부(議政府)-포천간(抱川間)에 발달(發達)한 단층구조(斷層構造)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ult structures in the Chukaryong Rift Valley. The Rift Valley has very significant meaning to interprete the development of Korean structural landforms. But till now the mechanism and processes of the formation of the Rift Valley are not clearly proved IMAGEM is very useful in this study. IMAGEM is developed by the Electromagnetic Instrument, Inc. and it covers $0.001{\sim}20,000Hz$. Form the fold survey data, it is certain that the faulted structures exist in the two points of the Rift Valley. But the Rift Valley is too long and braod to check the all evidences of the faulted structures.

이 논문의 목적은 추가령 열곡 내에 발달한 단층구조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열곡에 관한 이해는 한국의 구조지형 발달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아직까지 열곡형성에 관한 메카니즘이나 형성과정에 관한 논의가 확실하게 정리되지는 않았다. 야외조사를 통해서 얻은 자료를 기초로 하면 이 지역에 단층구조가 존재하는 것이 확실하다. 그러나 열곡이 매우 길고 넘어서 단층구조 전체에 대한 증거를 확인하기는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 IMAGEM은 매우 유용한 방법론의 하나이다. IMAGEM은 Electomagnetic Instrument Inc. 에 의해 개발되었고 $0.001{\sim}20,000Hz$를 커버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