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단층구조

Search Result 1,01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nterpretation of Paleostress using Geological Structures observ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Ilgwang Fault (일광단층 동편에서 관찰되는 지질구조를 이용한 고응력사 해석)

  • Kim, Taehyung;Jeong, Su-Ho;Lee, Jinhyun;Naik, Sambit Prasanajit;Yang, Wondong;Ji, Do Hyung;Kim, Young-Seo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8 no.4
    • /
    • pp.645-660
    • /
    • 2018
  •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uge fault valleys, including the Yangsan and Ulsan faults, are recognized. These NNE-SSW trending lineaments are called as a whole Yangsan Fault System. However, this fault system is relatively poorly studied except the Yangsan and Ulsan faults. This study deduced the paleostress history based on the mutual cross-cutting relationships between geologic structures developed in the granite body near the Ilgwang fault, which i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In the study area, four lineaments parallel to the Ilgwang fault are recognized, and three of them show evidences of faulting. In each lineament, both slip-senses of left-lateral and right-lateral are recognized. It indicates that these faults consistently underwent multiple deformations of inversion along the faults. The inferred paleostress directions based on the mutual cross-cutting relationships of the geological structures are as follows: 1) Tensile fractures developed in the late Cretaceous under the ENE-WSW direction of compressive stress, 2) NW-SE trending maximum horizontal principal stress generated conjugate strike-slip faults, and 3) selective reactivations of some structures were derived under the compression by the NE-SW trending principal stress.

Thermo-hydraulic modeling in fault zones for deep geothermal development (심부지열개발을 위한 단층대에서의 열-수리적 거동 모델링)

  • Kim, Jong-Chan;Lee, Young-Min;Koo, Min-Ho;Keehm, Young-Se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572-575
    • /
    • 2009
  • 지층 내에 발달한 고투수성 단층은 유체, 에너지, 그리고 용질이 이동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질구조이다. 따라서 고투수성 단층 주변부에서는 온천, 지열 이상대, 그리고 금속 광상 등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이 연구에서는 열-수리적 거동 모델링을 통하여 단층에 의한 온천 또는 지열 이상대의 형성 원인을 확인하였다. 단층의 구조에 따른 지하수 유동과 이에 따른 지층 내 열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단층 구조가 다른 3가지의 경우에 대해서 2차원 열-수리적 거동 정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 결과 단층 구조가 다른 3가지의 모든 경우에서 단층의 투수율이 커지면 단층대에서의 용출 온도가 초기 온도 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모암의 투수율 역시 용출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심부지열 개발을 위한 연구지역에 대해 보다 정확한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층의 구조, 단층과 모암의 투수율, 그리고 수리지질학적 정보 등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와 가천리 일원의 지질구조와 제4기단층의 발달 특성

  • 류충렬;최위찬;최성자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193-200
    • /
    • 2002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면 가천리와 상천리 일원에 발달하는 양산단층대 중남부의 발달특성과 제4기단층을 기재한다. 이 지역에는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과 화강암의 경계부 근처에 양산단층대의 주단층대와 부단층대로 확인되는 대규모의 단층파쇄대가 북북동-서남서 내지 남-북의 주향에 거의 수직으로 발달하고 있다. 단층조선은 수평에 가까우며 단층대내의 구조에 의하면, 주로 우향의 주향이동운동이 우세하다. 한편, 상천리와 가천리에는 이들 기반암과 제4기의 하성 사력층의 경계부 부근에서 제4기단층이 2조 발달하고 있다. 이들은 가천 제1단층과 가천 제2단층으로 기존의 양산단층대 일부가 제4기에 재활동한 것으로, 북북동 방향의 주향에 동측으로 고각의 경사를 보인다 단층조선은 거의 수평이며, 제4기 역들이 단층끌림에 의해 배열된 상태나 단층엽리내의 구조에 의하면 우향의 주향이동성운동이 우세하다.

  • PDF

A study on Fault structures in the Chukaryong Rift Valley (의정부(議政府)-동두천(東豆川), 의정부(議政府)-포천간(抱川間)에 발달(發達)한 단층구조(斷層構造))

  • Kim, Joo-Hwa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75
    • /
    • pp.15-2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ult structures in the Chukaryong Rift Valley. The Rift Valley has very significant meaning to interprete the development of Korean structural landforms. But till now the mechanism and processes of the formation of the Rift Valley are not clearly proved IMAGEM is very useful in this study. IMAGEM is developed by the Electromagnetic Instrument, Inc. and it covers $0.001{\sim}20,000Hz$. Form the fold survey data, it is certain that the faulted structures exist in the two points of the Rift Valley. But the Rift Valley is too long and braod to check the all evidences of the faulted structures.

Lineament and Fault-related Landforms of the Western Chungcheongnamdo (충남 서부지역의 선형구조와 단층지형)

  • Tae-Suk Kim;Cho-Hee Lee;Yeong Bae Se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5 no.3
    • /
    • pp.224-238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lineaments and fault-related landforms in Chungcheongnam-do, central Korean Peninsula, based on historical and instrumental records, given its susceptibility to future earthquakes. We extracted 151 lineaments associated with fault-related landforms. In regions with the Dangjin and Yesan faults, lineaments with strikes matching these faults were densely distributed. Conversely, in the Hongseong Fault area, the number of lineaments was smaller, and those with strikes similar to the fault were less discernible. This is likely due to the extensive distribution of alluvium and surface deformation from long-term weathering, erosion, and cultivation, which obscures geomorphic evidence of faults. At five key fault points, we identified fault-related landforms, such as fault saddles, knickpoints in Quaternary alluvium, and linear valleys, along the lineament, which may indicate an actual fault. However, the displacements of the Quaternary layer within the lineaments appear to be influenced more by external factors, such as artificial disturbances (e.g., cultivation) or stream erosion, than by direct fault movemen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ult-related landforms in this study area and those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suggest a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fault types and their associated landform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Kinematic Analysis of the Yangsan Fault (양산단층의 구조적 특성과 운동학적 고찰)

  • 장천중;장태우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163-171
    • /
    • 2002
  • 지금까지 양산단층에 대한 운동학적 해석은 단지 지질분포 특성의 차이를 근거로 단순 우수주향이동으로 해석해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규모 단층들은 단계적으로 서로 다른 운동체계에서 복합적인 발달과정을 거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보인다. 따라서 양산단층의 주변 지질구조와 운동학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산단층 주변의 지질분포, 지질구조, 단층주변의 소단층들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양산단층 주변 퇴적암의 층리면 자세는 양산단 층이 동일한 사건의 주향이동으로 형성된 단층예인의 특성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응력축의 지배를 받았거나 서로 다른 크기의 운동을 받았음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단층의 주향을 따라 단층대 폭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크게 5개의 주기를 가지면서 변화되고 각각의 주기는 약 25-30 km 로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단층조선이 발달된 소단층의 분석결과들은 양산단층이 한번의 운동으로 발달한 것이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사건들을 겪은 다중 변형의 산물임을 지시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Fault Structure Analysis using Spatial Index Structure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한 단층구조분석 연구)

  • Bang, Kap-S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390-393
    • /
    • 2016
  • 지진 활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지층의 단층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층 탄성파 데이터를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효율적인 공간정보를 생산하는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연구를 제안한다. 공간자료구조는 방대한 탄성파 데이터를 지층을 이루는 암석층을 공간데이터로 저장하고, 분석하여 단층대를 이루는 공간을 검색 가능하게 한다. 검색된 단층가능 구간은 전문가의 판단을 통해 주변의 다른 단층구간과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하여 지진 활동 연구에 중요한 판단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의 불안정한 지진활동 피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단층대의 확인 작업은 다양한 지상/지하 구조물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가 된다.

Problems and Reinforcement Measures for Rock Structures in Fault Zone (단층대 구간에서의 암반구조물의 문제와 보강대책)

  • Kim, Young-Geun;Han, Byeong-Hyeon;Sin, Yo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7.09a
    • /
    • pp.170-181
    • /
    • 2007
  • 암반내 존재하는 단층은 암반거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단층내에 충전물이 협재되어 있거나, 파쇄대가 넓게 발달한 경우에는 암반구조물의 안정성에 보다 심각한 문제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단층의 불연속적인 거동과 충전물의 거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장기적인 시간을 두고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검토에서는 단층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단층대 구간에서는 보강설계 사례 및 단층대 구간에서의 붕락사고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한 현장사례분석을 통하여 단층이 암반사면이나 터널과 같은 암반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단층과 점토 그리고 지하수 등의 복합거동에 의한 장기적이고 잠재적인 거동을 수반할 수 있는 단층의 공학적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Negative Air Ions according to the Planting Structure at School Forests (학교 숲 식재구조에 따른 음이온 발생량 비교 분석)

  • Kim, Jeong-Ho;Oh, Deuk-Kyun;Park, Yong-Gwan;Yoon, Y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5
    • /
    • pp.55-64
    • /
    • 2015
  • In this study, negative air ions, which can increase comfort and positively influence human health, was set as an evaluative factor for school forests. The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microclimate of school forests were examined to determine an effective school forest model for maximum negative air ion generation. It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green fields. Th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reen types. The order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was: single-layer structure($934ea/cm^3$) > multi-layer structure($794ea/cm^3$) > grass($553ea/cm^3$) > bare ground($529ea/cm^3$). As for the correlation with microclimat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Th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lanting type. The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was higher at single-layer structure sites than at multi-layer structure sites, which appears to indicate that the temperature is higher when the vegetation structure was single-layer compared to multi-layer. Wind speed was higher at the single-layer planted site than at the multi-layer planted site. The vegetation wind shielding effect was lower at single-layer planted sites than at multi-layer planted sites. The single-layer planted site provided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generation and dispersion of negative air ions.

Structural Evolution of the Northern Okinawa Trough (북부 오키나와트러프의 구조 발달)

  • Sunwoo D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7 no.5
    • /
    • pp.543-554
    • /
    • 2004
  • Analysis of multi-channel seismic reflection and well data serves to detail the structural evolution of the northern Okinawa Trough, southern offshore Korea. The overall structural style of the area is characterized by a series of half grabens and tilted fault blocks bounded by basement-involved listric normal faults. Most half grabens and tilted fault blocks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NNE-SSW, parallel to the axis of the Okinawa Trough. Orient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listric faults also suggest the development of transfer faults in NW-SE direction. The rifting phase of the northern Okinawa Trough have been established on the basis of structural and stratigraphic analyses of depositional sequences and their seismic expressions. Major phase of rifting probably started in the Late Miocene and the most active rifting occurred during the Early Pliocene. The rifting produced a series of half grabens and tilted fault blocks bounded by listric normal faults. It appears that the rifting activity has become weaker since the Late Pliocene, but the Pleistocene sediments faulted by listric faults bounding tilted fault blocks suggest that the rifting activity is probably still in prog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