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and Projection of Work-life Expectancy by Increment/Decrement Work-Life Table Method

증감 노동생명표에 의한 노동기대여명의 측정과 전망

  • Published : 2006.12.25

Abstract

In Korea, most studies have used the conventional Wolfbein and Wool method, which cannot be applied to women's work-life table because of bimodality and/or M curve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The increment/decrement work-life table method, however, is equally applicable to both men and women, but requires individual data on employment transition.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Garfinkle-Pollard method is the same as the increment/decrement work-life table method developed by Hoem, Schoen and Woodrow and adopted by BLS. The merit of Garfinkle-Pollard method is to produce work-life table using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without individual employment transition. This paper applies the Garfinkle-Pollard methods to the estimation and projection of work-life of Korean labor force for the period of 2000-2050, using the abridged life tables provided by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a projection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The work-life expectancy at 65 is 5.8 years for men and 4.1 years for women in 2000, and it increased to 7.7 years for men and 5.1 years in 2050. However, differences in work-life expectancy are found depending on the data processing of elderly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mortality assumption. Detailed data on elderly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further study on future mortality are required to estimate and project more accurate work-life expectancy.

우리나라의 노동생명표 대부분은 Wolfbein & Wool의 전통적 방법에 의해 작성되고 있다. 그러나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M자 형태를 보이므로, 이러한 방법은 여성의 노동기대여명 측정에 부적합하다. 한편. 증감 노동생명표는 여성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개인의 경제활동 상태 전이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Garfinkle과 Pollard et al.의 노동생명표가 Hoem, Schoen & Woodrow에 의해 개발되고, 미국 노동통계국이 채택하고 있는 증감 노동생명표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들의 노동생명표는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생명표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증감노동생명표처럼 개인의 경제활동 상태간 전이확률을 추정하지 않고, 공표된 거시적 경제활동참가율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통계청이 발표한 2000-2050년의 간이생명표를 바탕으로 성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치를 추정하고, Garfinkle-Pollard의 증감 노동생명표 방법론에 의한 노동기대여명을 전망하였다. 그 결과 2000년에서 2050년 동안 65세의 노동기대여명은 남자 5.8년에서 7.7년, 여자 4.1년에서 5.1년으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는 자료처리 방법 및 향후 사망확률 가정에 따라 노동기대여명이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정확한 노동기대여명의 측정 및 전망을 위해서는 고령자의 경제활동에 대한 상세한 자료가 필요함은 물론, 향후 사망력 가정에 대한 심층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석 (2004.12) '인구고령화와 잠재성장률' 문형표, 김동석, 박창균(편) <인구고령화와 거시경제> 한국개발연구원
  2. 박원란 (2001) '생명표에 의한 한국남성의 노동기간 변화?' <통계분석연구> 6(1):1-17
  3. 송병락 (2003.6) <2003 국민연금 재정계산 및 제도개선 방안> 국민연금발전 위원회
  4. 신경혜 (2002) '노동생명표에 의한 노동기간의 분석' 연구 자료 2002(2) 국민연금연구센터
  5. 안주엽 (2005.7.29)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05-2020> 한국노동연구원
  6. 장지연, 호정화 (2002) '취업자 평균 은퇴연령의 변화와 인구특성별 차이' <노동정책연구> 2(2):1-21
  7. 최기홍, 금재호, 조준행 (2001) <국민연금 가입자추계> 국민연금연구원 연구보고서
  8. 최기홍, 조준행 (2005) <국민연금 가입자추계: 경제활동인구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연구원 연구보고서
  9. 통계청 (2001.12) <장래인구추계>
  10. 통계청 (2003)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고령자편)>
  11. 한진희, 최경수, 김동석, 임경묵 (2002)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전망 2003-2012> 한국개발원 정책연구보고서
  12. 황수경 (2005) '노동생명표 작성법을 이용한 은퇴연령의 추정' <노동리뷰> 1(1):45-55
  13. 日本厚生勞動省(2005) <厚生年金, 國民年金年財政再計算結果> http://www.mhlw.go.jp/
  14. Garfinkle, Stuart (1957) 'Table of Working Life for Women' BLS Bulletin 1204
  15. Garfinkle, Stuart (1965) The Lengthening of Working Life and Its Implications' Wodd Population Conference Belgrade
  16. Hoem, Jan. M. (1977) 'A Markov Chain Model of Working Life Tables' Scandinavian Actuarial Journal 58(1):1-20
  17. Pollard, Alfred Hurlstone, Farhat Yusuf, and Pollard, G.N. (1974) Demographic Techniques Pergamon Press
  18. Schoen, Robert (1988) 'Practical Uses of Multistate Population Model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4:341-61 https://doi.org/10.1146/annurev.so.14.080188.002013
  19. Schoen, Robert and Karen Woodrow (August 1980) 'Labor Force Status Life Tables for the United States, 1972' Demography 17(3):297-322 https://doi.org/10.2307/2061105
  20. Smith, Shirley (March 1982) 'New Worklife Estimates Reflect Changing Profile of Labor Force' Monthly Labor Review 17(3) U.S. Department of Labor
  21. Smith, Shirley (1982) 'Tables of Working Life: The Increment/Decrement Model' BLS Bulletin 2135
  22. Smith, Shirley (1986) 'Worklife Estimates: Effects of Race and Education' BLS Bulletin 2254
  23. Wolfbein, Sseymour and Hharold Wool (1950) 'Table of Working Life : Length of Workinglife for Men' BLS Bulletin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