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지하공동 비축시스템의 타당성분석

Feasibility Study of Underground LNG Storage System in Rock Cavern

  • 정소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한공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박의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발행 : 2006.08.31

초록

국내 천연가스 수요의 동고하저의 수요패턴과 도입패턴의 불일치 및 저장시설의 한계 등으로 수급관리의 어려움이 내재하고 있고 LNG 생산지 사고 등 도입선 공급불안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LNG의 안정적 수급관리를 위하여 장기간 저장이 가능한 대규모 저장시설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Pilot Plant 운영을 통하여 검증된 복공식 저장공동기술의 국내 적용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 기술은 기존의 지상식과 반지하식에 비하여 경제성 안전성 및 환경친화성 등에 유리하며 특히 기화율 저감으로 인한 LNG 장기 저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LNG 지하공동 비축시스템의 국내 도입을 위하여 지하저장기술의 기술적 타당성 건설 및 운영비용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It is difficult to solve problems regarding the adjustment on demand and supply of LNG due to seasonal variations of domestic demand of LNG, a discordance among import pattern and limits of storage facilities and so on. Also, there may be instability in LNG supply due to chances of accidents at LNG producing area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large LNG storage facilities and to stabilize LNG supply management on a long term ba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l-scale applicability of a lined underground rock storage system, which have been verified by a successful operation of the Daejeon LNG pilot plant. The new technology has many advantages of better economy, safety and environment protection, for above-ground and in-ground storage sys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mote the first ever real scale underground LNG storage system in a rock cavern.

키워드

참고문헌

  1. 산업자원부, 2004, 제7차 장기천연가스 수급계획
  2. 윤상국, 최형식, 2002, LNG 냉열이용 BOG 재액화공정 해석연구, 한국박용기계학회지, Vol 26, No 2. 256-263
  3. 한국석유공사, 2004, 천연가스 전략비축사업 추진 방안 검토보고서
  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5, 천연가스 지하공동 비축시스템 타당성 분석, 산업자원부 정책용역과제 보고서
  5. Frank Heinze, at al., 2003, Report of Working Committee 2 'Underground Storage', 22nd World Gas Conference
  6. Sawa, K., E. Niwa, Y. Tsutsumi and A. Masunaga, 2003, Study of Lined Rock Gas Storage Technology, JHPI, Vol 41, No 2, 7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