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Text Readability of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and Attraction, Preferences, and Intention to Recommend Reading Signs to Others

자기안내식 해설판 글자의 가독성과 관심유도, 선호도 및 탐방객의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의 관계

  • 김상오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Readability, an indicator measuring the easiness of reading letters, has been known an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s the communicative effectiveness of the self-guided interpretive sign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o find out how the readability of the signs influence visitor's attraction and reading behavior of interpretive sign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ability of interpretive signs and attraction, preferences, and intent to recommend reading signs to ot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November of 2003 at a self-guided trail of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350 out of 375 responses from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usable. Results showed that readability of the signs is related with the attraction, preferences, and intention of recommending reading signs to others. The higher the readability of the signs were, the higher the attraction, preferences, and intention of recommending reading signs were. Attraction and preferences were also positively related with intention of recommending reading signs. Preferences better explained intention of recommending reading signs than readability and attr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readability of the signs may lead to higher participation in reading them.

가독성은 글자의 읽기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해설판의 정보전달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해설판의 가독성이 탐방객의 관심유발과 해설판 읽기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가독성과 해설판의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데이터 수집은2003년 8-11월중에 내장산 국립공원 내 자연관찰로 탐방객 중에서 선정된 총 375명을 대상으로 관찰로 주변에 설치된 해설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중 이용 가능한 350명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가독성은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독성 이 높으면 높을수록 관심유도, 선호도,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가독성과 더불어 관심유도와 선호도도 해설판 읽기권유의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세 변수중 선호도는 해설판 읽기 권유의도에 대하여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설판의 가독성을 증진시킴으로써 해설판 읽기 행동의 증대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중(1997)가로쓰기와 리더빌리티 관계에 대한 서술적 소고. 출판잡지연구 5(1): 19-32
  2. 김덕룡{1999) 인터넷 신문의 가독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디자인 논문집 4: 5-26
  3. 김상오(2005) 자기안내식 해설판글자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들. 한국임학회지 94(6): 362-369
  4. 김상오(2006) 자기안내식 해설판글자속성에 따른 가독성 비 교에 관한연구. 한국임학회지 95(1): 12-22
  5. 김성일, 황영현(1997) '스스로 알아보는' 안내해설판의 교육적 효과. 환경교육 10(2): 213-227
  6. 김지현, 김영호, 김민정(2001) 서울거리간판의 타이포그래피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1): 65-72
  7. 김 진, 조암(1992) A study on the legibility of Korean characters on car license plate: Proper height/width ratio. 대한인간공학회지 11(1): 13-19
  8. 김해옥{1970) 읽기 난이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5쪽
  9. 석금호(1994) 타이포그라픽 디자인. 미진사. 277쪽
  10. 손종은, 송형섭(2002) 자기안내식 환경해설판의 기능효과 분석: 홍릉수목원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91(6): 742-749
  11. 송현(1985) 한글자형학. 서울: 월간디자인출판부. 208쪽
  12. 신대균(2001) 읽기 형태, 줄길이, 줄간격이 웹브라우저에서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쪽
  13. 안상수(1980)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66쪽
  14. 오주환, 임상원(1971) 신문의 한글전용이 독자의 독서 행위에 미치는 영향. 신문학보 4:16-38
  15. 이영길(1998) 초등학교 교과서 본문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8쪽
  16. 이영현, 고형주, 김명렬(2001) 웹기반 평가를 위한 사용자가 독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4(2): 125-133
  17. 인숙경(1989) 신문의 시대변천에 따른 가독성 요소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5쪽
  18. 전경수(1999a) 내장산국립공원지역의 환경해설판에 의한 해설기능 평가. 원광대 생명자원과학연구 21: 104-109
  19. 전경수(1999b) 환경해설판의 해설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산림휴양연구 3(1 & 2): 29-38
  20. 정동욱(1996) TV-Program 서체의 시각전달 효과를 위한 연구. 시각디자인학 연구 1: 119-129
  21. 정재우(1997) 영상매체에 구현되는 한글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PC 모니터에서 표현된 한글을중심으로.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쪽
  22. 최성규(1995) 가독성에 영향을주는독서재 요소의 연구: 시사월간지의 본문을중심으로. 경남대학교부설 기초과학 연구소 연구논문집 7: 285-303
  23. Bednall, E.S.(1992) The effect of screen format on visual list search. Ergonomics 35(4): 369-383 https://doi.org/10.1080/00140139208967819
  24. Bell, T.P.(1993) Beyond visual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y Teacher 52: 9-12
  25. Dyson, M.C. and G.J. Kipping(1998) The effects of line length and method of movement on patterns of reading from screen. Visible Language 32: 150-181
  26. Ernst, S.B.(1977) The ABC's of Typography. New York: Art Direction Book Co., 188pp
  27. Garcia. M.L. and C.l. Caldera(1996) The effect of color and typeface on the readability of on-line text.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and Industrial Engineering 31(1&2): 519-524
  28. Haley, A.(1991) All caps: A typographic oxymoron. Upper and Lower Case 18(3): 14-15
  29. Ham, S.H.(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and small budgets. Golden, Colorado: North American Press, 456pp
  30. Holt, E.B.(1903) Eye-movement and central anaesthesia. Psychological Monographs 4:3-48
  31. Klare, G.R.(1963) The Measurement of Readability. Iowa: Iowa University Press, 328pp
  32. McCormick, EJ.(1976) Human Factors in Engineering and Design. McGraw-Hili, 491pp
  33. Ryder, J.(1979) The Case for Legibility. New York: The Moretus Press Inc., 77pp
  34. Sallis, P. and Kassabova, D.(2000)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xperiments with e-mail readability. Information Sciences 123: 43-53 https://doi.org/10.1016/S0020-0255(99)00109-7
  35. Sharpe. G.W.(1982) Interpreting the Environ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694pp
  36. Shen, E.(1927) An analysis of eye movement in reading of Chines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0: 158-183 https://doi.org/10.1037/h0075609
  37. Watannabe, R.K.(1994) The ability of the geriatric population to read labels on over-the-counter medication containers. Journal of the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65(1): 3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