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Respiratory Motion Effects on Dose Distribution Using TLD Phantom

열형광선량계용 팬톰을 이용한 호흡 움직임에 따른 선량분포의 평가

  • Hong, Ju-Young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Yon-La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onkuk University Hospital) ;
  • Rah, Jeong-Eun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in-Beom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Suh, Tae-Suk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홍주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김연래 (건국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 라정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정진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 서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dose distribution from the moving phantom for the respiratory motion. The phantom for TLD measurement was designed and built for this study based on the multiple plates for placing TLD and film. The TLDs may be inserted at 3 mm intervals in each TLD plate. For the measurements, TLD plate was inserted into the phantom at 1.5 cm ($d_{max}$) depth, and phantom was allowed to move in SI directions in the range of 1 to 2 cm with 0.5 cm interval for 6 MV X-ray beams. Penumbra and FWHM were measured at both moving state and compared stationary. It was found that penumbra increased 0.71 cm at stationary and 2.10 cm at moving state in 2 cm movement, and that FWHM are 7.52 cm for stationary state and 7.02 cm for moving state (2 cm movement). In this study, film was used to compared with TLD results of measurements and simitar results were observ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LD moving phantom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umors that move due to the respiratory motion.

본 연구에서는 열형광선량계(TLD)용 팬톰을 설계 및 제작하고 구동장치에 위치시켜 팬톰이 호흡과 유사하게 움직이는 경우에 선량분포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작된 팬톰은 TLD를 최소 3 mm 간격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TLD용 판과 필름을 장착시킬 수 있는 판으로 구성된다. 선량분포 측정을 위하여 팬톰 속 깊이 1.5 cm ($d_{max}$)에 TLD가 배열된 판을 삽입하고, 6 MV X-선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팬톰을 SI 방향으로 $1{\sim}2cm$ 범위에서 0.5 cm 간격으로 왕복운동하도록 하였다. 측정된 선량 프로파일에서 이동범위에 따른 반음영과 반측폭을 구하여 정지 상태와 비교한 결과 팬톰의 이동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음영 영역은 0.71 cm에서 2.10 cm로 증가하였으며 반측폭은 7.52 cm에서 7.02 cm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필름을 사용하여 위의 결과를 재확인한 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호흡에 의해 위치의 변화가 발생하는 종양에 대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 이 결과를 고려한다면 치료 효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