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Terrestrial DMB System for Video Associated Data Services

비디오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시스템 개발

  • Kim, Hyun-Soon (Broadcast Technical Research Team,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
  • Kyung, Il-Soo (Broadcast Technical Research Team,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
  • Kim, Sang-Hun (Broadcast Technical Research Team,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
  • Kim, Man-Sik (Broadcast Technical Research Team,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 김현순 (한국방송 방송기술연구팀) ;
  • 경일수 (한국방송 방송기술연구팀) ;
  • 김상훈 (한국방송 방송기술연구팀) ;
  • 김만식 (한국방송 방송기술연구팀)
  • Published : 2006.12.29

Abstract

Since DMB on-air was started, not high-qualified audio, video services but various service models have been required. This paper is about systems for one of these services, video associated data service. A terrestrial DMB system to make contents of video associated data services and transmit them on DMB channel is proposed in this paper. This system satisfies standard of the video associated data services for terrestrial DMB; MPEG-4 BIFS (BInary Format for Scene) Core2D scene description profile and graphics profile. This system is designed to support two major features of broadcasting, real-time authoring non automatic transmission and non real-time authoring automatic transmission, and focuses on the abilities to make high-qualified contents efficiently and transmit them to video encoder reliably. This system proved its performance through conformance tests with various receivers, so can be used in future on-air.

지상파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본 방송이 시작됨에 따라 고품질의 오디오, 비디오뿐만 아니라 부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서비스들 중 하나인 비디오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저작, 송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안한 시스템은 국내 지상파 DMB 부가데이터 서비스 표준인 MPEG-4 BIFS(Binary Format for Scene) Core2D 장면서술 프로파일과 그래픽스 프로파일을 따른다. 본 시스템은 실시간 저작 수동 송출, 비실 시간 저작 자동 송출이라는 두 중요한 방송 요소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양질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제작한 콘텐츠를 비디오 인코더와 연동하여 안정적으로 송출하는 데 중점을 두어 개발되었다. 제안한 시스템은 다양한 수신기와의 정합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으며, 추후 본 방송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초단파 디지털라디오방송 비디오 송수신 정합표준,' TTAS.KO - 07.0026, Aug. 2004
  2. 'Information technology -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 1: Systems,' ISO/IEC 14496-1: 2001 'Radio Broadcasting Systems;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to mobile, portable and fixed receivers,' ETSI EN 300 401 V1.3.3, May 2001
  3. 'Information technology - Computer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 The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 Part 1: Functional specification and UTF-8 encoding,' ISO/IEC 14772-1: 1998
  4. 김상훈, 곽천섭, 김만식, 'T-DMB 실시간 비디오 부가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개발,' 한국방송공학회 논문지, 제 10권 제 4호, pp. 474-487, 2005
  5.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Distribution interfaces; Ensemble Transport Interface (ETI)', ETSI ETS 300 799, Sep. 1997
  6. 황구연, 'KBS DMB 본방송 시스템 구성,' 방송공학회지, 제 10권 제 4호, pp. 27-32, 2005
  7. 오건식, 'SBS 지상파 DMB 본방송 시스템 구성 및 운용,' 방송공학회지, 제 10권 제 4호, pp. 37-4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