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력 발전소 건설에 의한 삼천포 화력발전소 방류수로 흐름변화 예측

Prediction of the Flow Pattern Changes using FLOW-3D Model in the Effluent Region of the Samcheonpo Thermal Power Plant (TPP)

  • 조홍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정신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김정대 (원광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강금석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발행 : 2006.12.31

초록

삼천포 화력발전소에서는 냉각수로 이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소가 건설되고 있다. 소수력 발전소는 발전량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규모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수력 발전소가 방류수로의 기능을 저해하지는 않는 범위에서 결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적정규모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수리학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방류수로의 흐름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흐름모형인 FLOW3D모형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소수력 발전소의 규모에 따른 방류수로 상류 지점의 수위 증가 양상을 예측하였으며, 발전소 건설에 따른 흐름변화 양상도 분석하였다 삼천포 소수력발전소 건설은 상류의 수위증가를 유발하며, 설계유량 156톤/초, 발전소 가동보 높이 3.8 m 기준에 대한 방류수로 Weir 상류지점의 수위는 4.97 m로 현 상태 4.32 m 보다 65 c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 small hydro-power plant using the seawater used as the cooling (circulated) water and discharged is under construction. The bigger size of the small hydro-power plant, the better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the electric power. The optimal size, however, should be determined in the constraints of the channel un-disturbed range. The water level change should be checked in detail based on the hydraulic behaviour. In this study, the FLOW3D model, three-dimensional flow model, is setup using the flow measurement data in the effluent discharge channel and the flow pattern changes due to the small hydro-power plant construction are predicted by the model. The plant construction makes the increasing of the water level, and the water level in the upstream of the channel weir is increased 65 cm from 4.32 m to 4.97 m, in the condition of the design discharge $156m^3/s$ and the movable weir height of the hydro-power plant 3.8 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남일 (2003). Investigation of Scale Effects of Hydraulic Model for Dam Spillway Using 3-D CFD Model.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이길성, 이종현 (2003). CFD 모형을 이용한 여수로 수리모형의 축척효과 조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700-2703
  3. 한국수자원공사, 대우건설 (2004). 화북 다목적댐 건설공사 여수로 수치해석 보고서
  4.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4). 화력발전소의 해수방류수를 이용한 수력발전시스템 타당성 조사 연구(최종보고서), 산업자원부
  5. 한국전력공사 (1994). 삼천포화력 5,6호기 설계기술 용역, 배수구 구조물 기본설계보고서(최종분), 89700-C411-001 (9-287-C3411-001)
  6. 한국전력공사 (1996). 삼천포화력 5,6호기 설계기술 용역, 순환수계통 설계서 (최종분), 87900-C466-001 (0-280-C3316-001)
  7. 한국남동발전(주) (2005). 삼천포 소수력발전소 기본설계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