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포 화력발전소 방류수로 및 방류해역의 흐름 관측 및 특성분석

Flow Measurement and Characteristic Analysis in the Effluent Regions of the Samcheonpo Thermal Power Plant(TPP)

  • 조홍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연구본부) ;
  • 정신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강금석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발행 : 2006.12.31

초록

삼천포 화력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이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소가 삼천포 해역에 건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 발전소가 건설되는 지점, 즉 방류수로 및 방류해역의 흐름을 관측하고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류수로의 흐름은 냉각수 방류량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며, 공간적으로는 냉각수가 합류되는 Weir 상류구간, 합류된 냉각수가 방류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Weir 하류구간, 방류해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Weir 상류 지점은 측면에서 유입되는 냉각수로 인하여 유량이 점차 증가하나, 수로의 폭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위 변화가 미미한 지역이며, Weir 하류지점은 월류된 냉각수가 사류(super-critical flow)구간을 거쳐서 수리학적 도약으로 인한 강한 연직방향의 요동을 보이며 방류해역으로 이동하는 구간이다. 한편, 방류수에 의한 영향으로 외해방향으로의 해수흐름이 형성되나 유속은 조위의 승강운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방류해역의 조위는 통영 검조소에 비하여 평균조차는 약 10%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파랑전파에 의한 영향은 미미한 정도로 파악되었다.

A small hydro-power plant operated by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ower plant is under construction. In this study,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effluent channel and the outfall coastal zone in which the facilities are constructed have been measured and analysed. The flow pattern is highly dependent on the effluent discharge and clearly classified as these typical areas; the upstream and downstream areas of the weir, and the outfall coastal zone. The discharge and the width of the channel in the upstream area of the weir are increased step by step, so the water level fluctuation is small. The flow overtopping the weir is rapidly changing and has highly vertical fluctuation patterns after hydraulic jump just below the weir. The flow pattern in the outfall zone is directed toward the seaward direction and the velocity is dominated by the tidal level fluctuation. The mean tidal range in this area is about 10% greater than that of the Tongyeong tidal gauging station and the wave effects are negligible because of the sheltering effects of this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Nybakken, J.W. and Bertness, M.D. (2005).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Sixth Edition, Chaps. 5-6, Pearson Eduacation, Inc
  2. Roberson, J.A. and Crowe, C.T. (1993). Engineering Fulid Mechanics, Fifth Edition, Chap. 15, Houghton Mifflin Co
  3. 최영박, 지정환 (1997). 최신 수리학, 제7장, 제8장, (주)교학사
  4.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2004). 화력발전소의 해수방류수를 이용한 수력발전시스템 타당성 조사 연구(최종보고서), 산업자원부
  5. 한국전력공사 (1994). 삼천포화력 5,6호기 설계기술 용역, 배수구 구조물 기본설계보고서 (최종분), 89700-C411-001 (9-287-C3411-001)
  6. 한국전력공사 (1996). 삼천포화력 5,6호기 설계기술 용역, 순환수계통 설계서 (최종분), 87900-C466-001 (0-280-C3316-001)
  7. 한국남동발전(주) (2005). 삼천포 소수력발전소 기본설계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