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mprovement Proposal for Nature-learning Places in Natural Parks with the Concept of Biotope - A Case Study of the Natural Parks of Chollabukdo -

자연공원 내 비오톱조성을 통한 자연학습공간 개선방안 - 전라북도를 사례로 -

  • Yu, Li-S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Myung-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Nature-learning place is a critical space together with nature center in Natural parks. But there are serious faults on these design and planning as for the landscape ecological considera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the ecological alternatives through analyzing existing cases of nature-teaming place in Natural parte. Five case sites in Natural parks were selected in Chollabukdo. Three landscape indices- subjectivity, natural prototype, nativity, were introduced for evaluating the existing cases. Results showed that those are short of landscape ecological senses- Biotope target species, ecological vegetation patches, eco-corridor concept. A proposal for the ecological planning in Deokyusan Natural park was suggested according to several criteria with biotopes as forest and stream patches and the corridor.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isting natural-loaming sites should be evaluated in light of landscape ecological indices. Second, they can be designed to work with the concept of the biotope patch and corridor for target spe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critical guidelines for the ecological planning and design of natural-loaming sites in nature parks.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2004) 덕유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2. 국립공원관리공단(2005) 멸종위기종 증식. 복원에 관한 연구 -국립공원별 생태특성에 따른 종 위주-
  3. 김귀곤, 조동길(2004) 자연환경 . 생태복원학 원론. 서울: 아카데미서적
  4. 김명수(2003) 환경복원에서 복원생태학, 경관 생태학. 보전 생물학의 역할. 한국복원녹화기술학회지 6(4): 17-23
  5. 김정호, 한봉호(2006) 도시생태계구조를 고려한 비오톱 유형 구분. 한국조경학회지 34(2): 1-17
  6. 나정화(2005) 경관 생태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을 통한 도입가능성과 한계성. 한국조경학회지 33(4): 45-70
  7. 나정화. 차성운. 도후조. 이정민(2005) 농촌 정주공간의 경관 생태학적 특성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2): 12- 32
  8. 송지선(2003) 서울시 공원의 자연학습장 현황 조사 및 개선 방안 모색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심재한(2001) 생명을 노래하는 개구리. 서울: 다른세상
  10. 원병오(1998) 하늘빛으로 물든 새 II. 서울. 중앙M&B
  11. 이도원(2001) 경관 생태학 -환경계획과 설계, 관리를 위한 공간 생리.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2. 이동근(2004) 경관 생태학. 서울: 보문당
  13. 이상우, 윤은주, 이인성(2004) 경관 생태지수사용에 대한 고려 사항과 문제점에 관한 고찰. 한국조경학회지 32(5): 73-83
  14. 이창석, 조현제, 문정숙, 김재은, 이남주(1998) 복원 및 경관 생태학적 원리에 근거한 남산의 생태공원화 계획. 한국생태학회지 22(53): 12-18
  15. 정문선, 이명우(2000) 우리나라 중소도시 비오톱공간의 조성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28 (4): 75-90
  16. 정흥락, 홍선기, 이현우(2005) 환경영양평가기법의 경관 생태학적 접근방안. 한국복원녹화기술학회지 8(3); 73-85
  17. 조용현(1997) 경관 생태학의 기본원칙 -조경과 토지이용계획에서-. 서울대 환경대학원 부속 환경계획연구소 자료집
  18. 조우(2000) 한국의 국립공원 자연학습탐방로 운영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조경학회지 28(5): 13-14
  19. 최재용, 박소현, 이동근(2005) 자연환경보전 . 이용 시설의 공간 조성 사례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1): 52-62
  20. 홍선기, 김동엽 역(2002) 토지모자이크: 지역 및 경관 생태학. Forman, R T. T.,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 and Regions.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1. 황보철, 이명우(2005) 경관 생태 지표를 활용한 생태마을계획 원리. 한국조경학회지 33(4): 77-78
  22. Farina. A. (1999) Principles and Methods in Landscape Ecology. New York: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Lyle, J. T(l985) Design for Human Ecosystems: Landscape, Land Use. and Natural Resource. Washington D.C.: Van Nostand Reinhold Company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