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배 과실의 생육기에 발생하는 과피얼룩과 발생 요인

Factors Involved with the Incidence of Black Stain in Pear Fruits During Growing Season

  • Kim, Jeam-Kuk (Fruit Research Div.,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DA) ;
  • Park, Young-Seob (Fruit Research Div.,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DA) ;
  • Seo, Hyeong-Ho (Fruit Research Div.,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Han-Chan (Fruit Research Div.,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Jung-Sup (Horticultural Environment Div.,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DA)
  • 발행 : 2006.12.01

초록

배 생육기 발생되는 과피얼룩과의 발생 요인 및 방지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3년 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 과피에 발생되는 과피얼룩 발생시기는 유과기부터 수확기에 발생하며, 발생 초기 부정형의 검은색 반점이 생기고 발생 후 시간이 경과되면서 갈색으로 되었다. 봉지 종류에 따른 과피얼룩과 발생 정도는 광 투과량이 적고 속 봉지의 투기성 및 투수성이 불량할수록 발생이 많았으며, 과실 부위별 발생 정도는 과실 적도를 중심으로 상부보다 하부쪽 발생이 현저히 많았다. 강우가 많거나 재배적으로 수관 내 가지 밀도가 많아 채광, 통풍이 불량한 과원에서 발생이 많았다. 약제방제는 수관 약제 살포보다 동계 약제인 석회유황합제 살포+잡초제거에 의해 과수원 내 병원균의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Potential factors favoring black stains during fruit development in Pyrus serotina was investigated. Black stain occurred from young fruit till harvest. The color of the affected fruits in early stage was black or light reddish brown, but turned to light brown over time. Fruit bags with lower light transmission and inner bags with poor aeration stimulated the symptoms, and high water permeability of the bags increased the black stain. Much rain and/or poor light transmission and aeration within the canopies also favored the occurrence of black stain. Diminution of pathogenic fungi density by lime sulfu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anopy spray of fungicide for the prevention of black stain.

키워드

참고문헌

  1. Choi, S. J., Hong, Y. P. and Kim, Y. B. 1995. Prestorage treatments to prevent fruit skin blackening during cold storage of Japanese pear 'Singo'('Niitaka'). J. Kor. Soc. Hort. Sci. 36: 218-223
  2. 홍윤표. 2002. 신고 배 저온 저장중 발생하는 과피장해 현상의 원인과 방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박사학위논문. 4-77 pp
  3. Groves, A. B. 1953. Sooty blotch and flyspeck:Plant Diseases. US Dept. Agric. Yearbook Agric. 663-666 pp
  4. 김점국, 이한찬, 홍경희, 윤천종. 1999. 배 과피오염 발생 원인 구명. 한국원예학회지. 40: 436-438
  5. 김점국, 윤익구, 이한찬, 2002. 배과실의 생육기 발생하는 과피 얼룩과 발생요인구명. 원예연구보고서. 202-206 pp
  6. Kim, J. H. 1975. Studies on the causal factors of skin browning during storage and its control method in 'Imamuraaki' pear (Pyrus serotina Rehder). J. Kor. Soc. Hort. Sci. 16: 1-25
  7. 임명순. 2002. 과수원 토양관리 및 병해충방제. 농촌진흥청 원 예연구소. 54-63 pp
  8. 박영섭. 2004. 동양배 과피얼룩병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농 과대학 박사학위논문. 38-51 pp
  9. 윤상돈, 홍윤표, 목일진, 이종석. 2000. '신고' 배 저장중 과피얼 룩반점의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 한국원예학회지. 41: 523- 525

피인용 문헌

  1. Factor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during Growing Period in ‘Niitaka’ Pear vol.33, pp.3, 2014, https://doi.org/10.5338/KJEA.2014.33.3.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