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VN (Korean VLBI Network)의 우주측지학적 기여도 분석

ANALYSIS ON IMPACTS OF KVN TO GEODETIC VLBI NETWORK

  • 발행 : 2006.12.10

초록

전파천문학과 우주측지학적 활용을 목적으로 3기의 전파망원경으로 국내에 구축되고 있는 초장 거리간섭계(VLBI;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인 KVN의 우주측지학적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KVN의 우주측지학적 기여도를 두 가지 서로 다른 규모의 관측망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local관측망(KVN-Asia)과 태평양 주변 지역의 global 관측망(KVN-Pacific)을 구성하였다. KVN이 이들 두 관측망에 포함되기 전 후에 대한 정량적 기여도 분석이 이 연구를 통해 수행된 모의실험의 주목적이다. 이를 위해 관측소 좌표와 지구회전계수(EOPs; Earth Orientation Parameters)를 정량적 기여도 분석의 기준 파라미터로 선택하였다. 이들 파라미터는 모의실험을 통해 추정되는 대상인 동시에 KVN 포함 전 후의 추정 정밀도 향상에 대한 기준 비교인자이기도 하다. 관측소 좌표는 KVN-Asia에 대한 기준 비교인자로 사용되었고, EOP는 KVN-Pacific에 대한 기준 비교인자로 사용되었다. 모의 실험 결과 KVN-Asia와 KVN-Pacific의 기준 비교인자 추정정밀도 개선에 대한 KVN의 기여도는 최대 50%, 20%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안된 KVN의 우주측지학적 유망연구 분야들은 향후 KVN우주측지학적 활용의 핵심분야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KVN simulation, which is focused on evaluating the impacts of KVN to geodetic VLBI network, was performed. The KVN is under construction with three radio telescopes VLBI system for radio astronomy and space geodesy. To distinguish the impacts of KVN on global and local scale networks, we designed two different sizes of VLBI networks, namely, KVN-Asia and KVN-Pacific. While the former consisted of Far East Asia region VLBI stations, the latter consisted of pacific region VLBT stations. The primary purpose of our simulation is quantitative evaluation of KVN impacts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of KVN in the previous two virtual networks. We selected two different sets of parameters to be estimated in the simulation as indices of evaluating estimation precision: station coordinates and EOPs. The station coordinates are evaluating index for KVN-Asia and the EOPs are another evaluating index for KVN-Pacific. From the simulation results of comparisons between evaluating indexes, 50% and 20% of maximum improvements for KVN-Asia and KVN-Pacific were anticipated respectively. We expect that the space geodetic use of KVN will be focused on the several promising research fields which are proposed through the simulation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박관동 2003, 한국우주과학회보, 12(2), 30
  2. Kim, H.-G., Han, S.-T., Sohn, B.-W., Oh, S.-J., Je, D.-H., Wi, S.-O., & Song, M.-G. 2004, in Proceedings of the 7th European VLBI Network Symposium, eds. R. Bachiller, F. Colomer, J.-F. Desmurs, & P. D. Vicente (Toledo: Observatorio Astronomico Nacional), pp.281-284
  3. Ma, C., Arias, E. F., Eubanks, T. M., Fey, A. L., Gontier, A. M., Jacobs, C. S., Sovers, O. J., Archinal, B. A., & Charlot, P. 1997, in The International Celestial Reference Frame as realized by VLBI, IERS Technical Note 23, Part II, eds. C. Ma & M. Feissel (Paris: Observatorie de Paris)
  4. Niell, A., Whitney, A., Petrachenko, B., Schlueter, W., Vandenberg, N., Hase, H., Koyama, Y., Ma, C., Schuh, H., & Tuccari, G. 2004, IVS Memorandum 2006-008v01, p.8
  5. Nothnagel, A., Nicolson, G. D., Schuh, H., Campbell, J., Cloppenburg, H., & Kilger, R.1988, in Proceedings of lAU Symposium 128 on Earth Rotation and Reference Frames for Geodesy and Geodynamics, eds. A. K. Babcock & G. A. Wilkins (Dordrecht: Reidel Publishing Com.), pp.193-198
  6. Sella, G. F., Dixon, T. H., & Mao, A. L. 2002, JGR, 107, 2081 https://doi.org/10.1029/2000JB000033
  7. Shapiro, I. I. & Knight, C. A. 1969, Earthquake displacement fields and the rotation of the earth (Dordrecht: Reidel Publishing Com.), pp.284-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