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한국언론정보학보)
- Volume 35
- /
- Pages.147-178
- /
- 2006
- /
- 1598-3757(pISSN)
A Study of the News Coverage of Screen Quota
스크린쿼터에 관한 뉴스보도 담론분석
- Joung, Mi-Joung (Division of Mass Communication and Advertising, Sungkyunkwan University)
- 정미정 (성균관대학교)
- Published : 2006.08.14
Abstract
Screen Quota is very important topic at our whole society not only film industry. Moreover the opinions are sharply divided. So, journalism, at the objective and neutral position, has the responsibility to present objective field to discuss and neutral information. This script censoriously focuses that how Korean Journalism handles Screen Quota issue from the upper mentioned premises. The first point is Korean Journalism gives legitimacy to the Governmental persistence, which is fixing Screen Quota as a hurdle for the FTA settlement so that it should be reduced. Secondly, Korean Journalism has been reducing the importance of the Screen Quota issue as the problem of film industry itself own, describing it as combat between Government and Film Industry. Third, it describes the Screen Quota as a privilege granted to the Film industry only. Finally, it provides power to the point of view of the Government which insists to reduce the Screen Quota mentioning the superiority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an Films discriminatingly. In conclusion, I could not but define that Korean Journalism is only speaking for America and Korean Government especially about the Screen Quota issue which is divided sharply. What it means is Korean Journalism has not been providing not only objective information but also impartial dispute field to the public for the issue which has very importance socially. The news and discussions about Screen Quota shows that this issue is not free from the progress of FTA which includes the Screen Quota problem. Further on, it could be deduced that the discussion about Korean film industry has kept on focusing its topic to the choice of decreasing or maintaining Screen Quota. The cultural contents have been expanding its importance day by day. Endeavors to settle the enormous problems of film industry should be preced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to prepare against market opening. Consequently, to solve the problems of film industry, Screen Quota should be positioned as a protect policy rather than a remedy for every ill, at the same time all the possi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for the problems that Screen Quota could not solve.
스크린쿼터는 영화산업을 넘어서 우리 사회 전반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언론은 객관적인 입장에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여 보다 객관적인 논의의 장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해야 할 책무가 있다. 이 연구는 그런 전제에서 출발하여 스크린쿼터에 대한 이슈를 우리 언론이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 언론은 스크린쿼터를 FTA를 위해 처리해야만 하는 '장애물'로 규정하여 스크린쿼터제가 축소되어야만 한다는 정부의 입장을 정당화하고 있었다. 둘째, 우리 언론은 스크린쿼터를 '정부와 영화계'의 대립구도로 묘사하며 '영화계'만의 문제로 축소시키고 있었다. 셋째, 스크린쿼터가 영화계에만 주어지는 '특혜'로 묘사하고 있었다. 넷째, 한국영화의 경쟁력의 우수함만을 강조함으로써 정부의 스크린쿼터 축소근거를 강화시켰다. 종합적으로 평가해볼 때, 우리 언론은 첨예하게 대립되는 스크린쿼터 문제에 있어 철저하게 미국과 한국정부의 논리를 대변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는 언론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 사안에 있어 시민들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또한 보다 공정한 논의의 장을 제공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스크린쿼터에 대한 뉴스담론은 이 사안이 위치한 사회적 맥락인 FTA의 진행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음을 알려준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생각해 보면, 우리 영화산업에 대한 논의는 항상 스크린쿼터의 축소와 유지라는 담론의 맥락에서 진행되어왔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현재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은 날로 더해가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가장 대표적인 영화의 경쟁력을 높이고 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산적한 영화산업의 문제들을 먼저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크린쿼터를 만병통치약으로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외적인 문화다양성을 유지하는 보호정책의 위치에 놓고, 스크린쿼터로는 풀리지 않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