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tivations for Cellular Phone Uses and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by Gende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휴대전화 이용 동기 및 성별에 따른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actors related to the motivation for the uses of cellular phon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for cellular phone us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223 questionnaires were submitt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otive structur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as recreation, time management, information-seeking, reassurance and fashion/showing off. Among those motivations, these middle school students examined here were found to use cellular phones in similar ways to how conventional telephone is used such as work/instrumental reasons and socializing/entertaining. The motivation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level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Information-seeking and time management motivation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an open communication level while fashion/showing off and recreation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an open communication level.

Keywords

References

  1. 국길숙, 이미숙(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23(1), 89-107
  2. 권혜진(1993). 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에 관현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신, 김진희(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변인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6(1), 15-25
  4. 국가청소년위원회(2002). 청소년보호백서
  5. 김선남, 김현욱(2004).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8(4), 88-116
  6. 김성일, 김남희(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1), 75-89
  7. 김신동(2001). 호모텔레포니쿠스의 등장: 이동전화의 확산에 영향을 준 사회문화적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보, 45(2),62-85
  8. 김유연, 박성연(2001). 부모양육태도 및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물질주의 가치관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1-13
  9. 김정기(2005). 청소년과 성인집단의 휴대전화 이용특성 비교. 한국언론학보, 49(3), 262-290
  10. 김정은, 여정성(2001). 청소년 소비자의 음성전화정보서비스 소비실태와 소비자문제분석. 소비자학연구, 12(4),1-21
  11. 김태현, 이영자(200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가족기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173-193
  12. 나은영(2001). 이동전화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적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5(5), 189-228
  13. 박웅기(2003). 대학생들의 이동전화 중독증에 관한 연구. 한국 언론학보, 47(2), 250-281
  14. 박종민(2003) 휴대전화, 인터넷, 텔레비전의 미디어 속성 차이와 이용동기 요인연구. 한국언론학보, 47(2), 221-249
  15. 박준범(1999).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이용현상에서 나타나는 하위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삼성생명공익재단, 한국언론재단(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17. 서울신문(2006). 휴대전화, 인터넷이 가족갈등 불씨. 2006년 1월 4일
  18. 성동규, 조윤경(2002). 이동전화 이용자의 집단적 특성에 따른 이용유형 연구. 한국언론학보, 46(6), 153-190
  19. 신효식, 김금화(2004). 중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한국가정과학회지, 7(2), 47-58
  20. 양심영, 박영선(2006).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지, 43(4), 1-16
  21. 유소이(2002). 휴대폰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태도, 시용비용 및 소비자만족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3(1), 119-138
  22. 이경님(200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자기 통제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1), 77-91
  23. 이선경(2004). 한국인의 이동전화 이용동기와 이용행위에 대한 연구: 세대와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과학, 21, 191-220
  24. 이인희(2001). 대학생 집단의 휴대폰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5(3), 261-293
  25. 이준호, 안수근, 정용조(2004).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이용 행태와 사회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 학보, 27, 247-282
  26. 이혜숙(1998).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정보통신부. www.mic.go.kr
  28. 최규련(1996). 가족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에서의 청소년 문제와 그 대책. 대한가정학회지, 34(1), 147-160
  29. 최규련(1998). 가족체계유형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복지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120-142
  30. 최병목(2002). 중고교생의 휴대폰 사용 유형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8(4), 398-417
  31. 최인경(2001).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한국소비자보호원(2004). 청소년 이동전화 및 무선인터넷 이용실태조사. 한국소비자보호원
  33. Alexander, P.S.(2000). Teens and mobile phones growing up together: Understanding the reciprocal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Presented at the Wireless World Workshop, University of Surrey
  34. Barnes, H. & Olson, D. H(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D. H. Olson, H I. McCubbin, A. Larsen, M. Muxen. & M. Wilson. (Eds.). Family inventories.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35. Buick, J. V. & Bergh, B. V.(2000).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guidance patterns on children's media use: Gender differences and media displacemen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3), 329-348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3_1
  36. Eldridge, M. & Grinter, R.(2001). Studying text messaging in teenagers. Position Paper for CHI 2001.(http://www.id.iit.edu/~id545b/resources/eldridge-grinter.pdf)
  37. Ling, R.(1998). We will be reached: The use of mobile telephony among Norwegian youth. Information Technology and People, 13(2), 102-120 https://doi.org/10.1108/09593840010339844
  38. Katz, J .E.(1999). Connections: Social and cultural studies of the telephone in American lif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39. Leung, L. & Wei, R.(2000). More than just talk on the move: Uses and gratifications of the cellular phone.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7(2), 308-320 https://doi.org/10.1177/107769900007700206
  40. Oksman, V. & Turtiainen, J.(2004) Mobile communication as a social stage. The meaning of mobile communication among teenagers in Finland. New Media & Society, 6(3), 256-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