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Ovulation and Optimal Breeding Time Based on Vaginal Cytology and Determination of Reproductive Hormones in Shih-tzu Bitches

Shih-tzu견에서 발정 주기 동안 질세포 검사 및 번식 호르몬 측정에 의한 교배 적기 및 배란 시기의 판정

  • Kim, B.S.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Oh, K.S.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P.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Bae, C.S.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J.T. (Dept. of Veterinary Medicine, Kw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I.C. (Dept. of Veterinary Medicine, Kw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S.G. (Jeollanamdo Livestock and Veterinary Research Institute) ;
  • Son, C.H.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Vaginal cytology was examined in 12 Shih-tzu bitches to establish the accurate basic data for estimate to the optimal mating time and ovulation time. The mean duration of proestrus and estrus were $9.09{\pm}0.83\;(mean{\pm}SD)$ days and $7.36{\pm}0.47$ days in pregnant bitches. The gestational length in the 12 pregnant bitches was $65.2{\pm}0.5$ days in pregnant bitches when Day 0 was timed from the first day of male acceptance. Characteristic features of vaginal cytology during the estrous cycle were the high proportion of large intermediate cell, superficial cell, anuclear cell and erythrocyte in proestrus, superficial cell, anuclear cell and erythrocyte in estrus, and parabasal cell, small and large intermediate cell and leukocyte in diestrus, respectively. Cornification index (CI) was the high proportion in proestrus and estrus, then it decreased in diestrus and anestrus. When Day 0 was timed from the day of the first male acceptance, the CI peak was Day 2 and maintained above 80% between Day -4 and Day 6 during 11 days, and above 90% between Day -1 and Day 5 during 7 days. In relationship between CI and reproductive hormones, CI showed peak at the first day after plasma estradiol-$17{\beta}$ concentration peak and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irst increased above 4.0 ng/ml at Day 0 which was the first day after CI peak. In conclusion, ovulation in Shih-tzu bitches occurred at the first day after CI peak. Vaginal cytology is the simple and reliable method for estimating estrous cycle, optimal breeding time and ovulation time in Shih-tzu bitches.

Shit-tzu견에서 발정 주기, 교배 적기 및 배란 시기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한 질 세포 검사를 확립하기 위하여 Shih-tzu 견 12두를 대상으로 발정 주기동안 질 세포 검사 및 estradiol-$17{\beta}$와 progesterone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발정주기별 질 세포상의 특징적인 변화로서 발정 전기에는 무핵 세포와 적혈구, 발정기에는 표층 세포와 무핵 세포 및 적혈구가 주종을 이루는 세포였으며 발정 휴지기에는 소형 중간 세포와 대형 중간 세포, 무발정기에는 부기저 세포와 소형 중간 세포 및 백혈구가 주종을 이루는 세포이었다. 또한 CI는 발정 전기와 발정기에 높게 나타났으나, 발정 휴지기와 무발정기에는 감소하여 각 기간별 비교에서 발정 전기와 발정기에 유의성 있게 높았다. 발정주기 중 첫 수컷 허용일(Day 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CI는 발정 전기 개시일 전후인 Day -9에 $72.4{\pm}2.9%$, Day -4에 $84.0{\pm}3.9%$로 80%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Day 0에 $97.0{\pm}1.1%$로 증가하여 Day 2에는 $98.2{\pm}0.5%$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CI가 80% 이상을 나타낸 기간은 Day -4에서 Day 6까지(11일간)이었고, 90% 이상을 나타낸 기간은 Day -1에서 Day 5까지(7일간)이었다. 또한 임신 Shih-tzu 견 12두에서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한 날을 기준(Day 0)으로 발정 주기 중 혈장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 및 CI의 관계를 살펴보면 estradiol-$17{\beta}$가 Day -2에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CI가 Day -1에 최고치를 나타낸 후 Day 0에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5.2{\pm}0.3ng/ml$로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CI가 최초로 80 % 이상으로 증가하여 지속한 날은 estradiol-$17{\beta}$ peak 5일전인 Day -7이었고, Day -7부터 Day 3까지 11일 동안 80% 이상으로 지속되었다. CI가 최초로 90% 이상으로 증가한 날은 estradiol-$17{\beta}$ peak 2일전인 Day -4이었으며, Day -4부터 Day 2까지 7일 동안 90% 이상으로 지속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Shih-tzu 견에서 첫 수컷 허용일(Day 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CI 최고치는 Day 2에 나타났으며 이 때가 최상의 교배 적기로 사료되며, 혈장 progesterone농도가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한 날(Bay 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부터 CI는 혈장 estradiol-$17{\beta}$ peak 후 1일째인 최고치를 나타내었고, CI peak 후 1일째인 Day 0에 혈장 progesterone 농도가 최초로 4.0 ng/ml 이상으로 증가하여 CI가 90% 이상으로 지속된 시기가 최상의 교배 적기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혈장 progesterone농도 측정으로 정확한 배란 시기 및 교배 적기를 판정할 수 있으나, 시설비가 저렴하고 검사 방법이 간단한 질 세포 검사가 Shih-tzu 견에서 발정 주기, 교배 적기 및 배란 시기의 판정에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ell ET and Christie DW. 1971. Erythrocytes and leukocytes in the vaginal smears of the beagle bitch. Vet. Rec., 88:546-549 https://doi.org/10.1136/vr.88.21.546
  2. Bouchard GF, Solorzano N, Concannon PW, Yougquist RS and Bierschwal CJ. 1991. Determination of ovulation time in bitches based on teasing, vaginal cytology, and ELISA for progesterone. Theriogenology, 35:603-611 https://doi.org/10.1016/0093-691X(91)90456-N
  3. Christiansen IJ. 1984. Reproduction in the dog and cat. 1st ed., Bailliere Tindall, London, pp. 41-45
  4. Concannon PW and Lein DH. 1989. Current veterinary therapy. 10th ed., Saunders, Philadelphia, pp. 1269-1282
  5. Concannon PW, Hansel W and McEntee K. 1977. Changes in LH, progesterone and sexual behavior associated with preovulatory luteinization in the bitch. Bio. Reprod., 17:604-613 https://doi.org/10.1095/biolreprod17.4.604
  6. Feldman EC and Nelson RW. 1996. Canine and feline endocrinology and reproduction. 2nd ed., Saunders, Philadelphia, pp. 526-546
  7. Guyant L. 1988. Canine vaginal cytology. Veterinary Technician, 9:513-520
  8. Linde C and Karlsson I. 1984.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ytology of the vaginal smear and the time of ovulation in the bitch. J. Small. Anim. Pract., 25:77-82 https://doi.org/10.1111/j.1748-5827.1984.tb00449.x
  9. Olson PN, Thrall MA, Wykes PW and Nett TM. 1984. Vaginal cytology. Part II. Its use in diagnosing canine reproductive disorders. Compend. Contin. Educ. Pract. Vet., 6:385-390
  10. Post K. 1985. Canine vaginal cytology during the estrous cycle. Can. Vet. J., 26:101-106
  11. Renton JP, Boyd JS, Harvey MJA, Ferguson JM, Nickson DA and Eckersall PD. 1992. Comparison of endocrine changes and ultrasound as means of identifying ovulation in the bitch. Res. Vet. Sci., 53:74-79 https://doi.org/10.1016/0034-5288(92)90088-J
  12. Schutte AP. 1967a. Canine vaginal cytology. II. Cyclic changes. J. Small. Anim. Pract., 8:307-311 https://doi.org/10.1111/j.1748-5827.1967.tb04555.x
  13. Schutte AP. 1967b. Canine vaginal cytology. III. Complication and evaluation of cellular indices. J. Small. Anim. Pract., 8:313-317 https://doi.org/10.1111/j.1748-5827.1967.tb04556.x
  14. 김정훈, 정경아, 강현구, 오기석, 박인철, 박상국, 한호재, 손창호. 2000. 진돗개에서 발정 주기 동안 질세포상과 번식호르몬의 관계, 한국임상수의학회지, 17:225-233
  15. 손창호, 백인석, 신창록, 최한선, 강병규. 1996. 진도개에서 발정 주기, 교배적기 및 배란시기 판정을 위한 질세포 검사의 이용성. 한국임상수의학회지, 13:114-122
  16. 이기창, 강현구, 천현미, 김일화. 2006. 비글개에서 발정 주기 및 교배적기 동안 질세포상과 번식 호르몬의 관계.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1:109-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