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tream Discharge Characteristic at Control Point for Runoff Model Application

유출모의를 위한 주요제어지점 유량특성 분석

  • 이상진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 이배성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 류경식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 황만하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For an accurate rainfall-runoff simulation in the river basin, not evaluation of runoff model but accurate runoff data are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SSARR model was applied to the Geum River basin and these results are compared with runoff data observed at the Gongju gauging station. The model results didn't good fit the discharge data determined from the rating curve at Gongju gauging station during normal and dry season, especially. For the reliability analysis for the existing rating curve, we observed new stream discharge set from 2003 to 2005. We also estimated long term runoff data from the base flow separation method and defined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the new observed stream discharge is similar to the rainfall-runoff model results but existing rating curve seems to be overestimated about 10-20% during normal and dry season. We found that the continuous monitoring and update for the existing rating curve at the gaging station are needed for accurate estimation of runoff data.

유역의 정확한 강우-유출관계를 모의하기 위해서는 모형의 적용과 더불어 관측자료의 정확한 평가 및 검증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SARR모형을 금강유역에 적용하여 모의결과를 주요제어지점인 공주지점의 유량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이수기시 저수위 구간에서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 분석을 위해 과거 관측유량자료(Rating Curve)의 신뢰도분석 및 유량 재관측($'03{\sim}'05$년)을 실시하였고, 유출성분 분석기법을 활용한 장기유출량을 산정하여 제어지점의 수리특성을 명확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SSARR 모의결과 및 유출성분분석에 의한 장기유출량 산정결과는 재관측된 유량과 근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존의 관측유량은 지점의 공간적 특성에 기인한 수리학적 영향으로 인해 평 갈수기시 약 $10{\sim}20%$ 과대 산정된 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관한 보정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7). 기존댐 용수공급 능력 조사(금강 수계)보고서
  2. 건설교통부 (1999). 금강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산정 보고서
  3. 건설교통부 (2000).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고서
  4. 건설교통부, 금강홍수통제소 (2002). 금강수계 유량측정조사 보고서
  5. 안상진, 이용수 (1989). 'SSARR 모형에 의한 유역유출 해석.'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2권, 제1호, pp. 109-116
  6. 정성원, 김동구, 김치영, 황석환, 한명선, 이찬주 (2005). '유량자료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검증시스템 구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지, 한국수자원학회, pp. 48
  7. 추태호, 김현식, 김만식, 김철구, 윤재홍 (2000) '1차원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구둑 유량 검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지, 한국수자원학회, pp. 640-645
  8. 한국수자원공사 (1996). 낙동강 수계 실시간 최적 저수관리 시스템 개발(분석모델부분)
  9. 한국수자원공사 (2003). Rating Curve 산정시스템 (Hydro Toolkit) 개발
  10. 한국수자원공사 (2004a). 금강유역조사 보고서
  11. 한국수자원공사 (2004b). 대청다목적댐 관리연보
  12. USACE (1991). SSARR User manual. North Pacific Div., Portland

Cited by

  1. Water quality projection in the Geum River basin in Korea to support integrated basin-wide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73, pp.4, 2015, https://doi.org/10.1007/s12665-014-3524-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