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umption Desire Reflected in Animation -Focused on Animation 'Wellbuying Shop'

애니메이션에 반영 된 소비욕망 -'Wellbuying Shop 1'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6.11.01

Abstract

This study is performance thesis to examine structure of excessive consuming culture of modern people's desire turning away from modern people's original purpose of aiming life that is well-being. Method of the research is theological examination of people's desire into consuming and well-being culture is critically analyzed by creation of meanings and differences of showcase that symbolize consuming culture. Also my piece of work 'Well-buying Shop 1' that above theory is applied is selected for focused analysis of concept realization method in video configuration method and technique. The symbol Showcase in the animation represent laboratory of consuming culture and desire for ownership. The animation runs for 3 minutes and 50 seconds focused on animal characters raised in well-being farm. Through cut out animating environment, animal characters have life in the animation and they are completed with long take method and temperament editing type for effort of liberal devotion between audience and the animation. Lithographic technique is used for characters and background images for trial of pictural density by pressures and variety of colo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basis of above animation showing opportunity and it has significance on trial of various color of lithographic expression technique that are not commonly used in animation image production.

본 논문은 well-being을 모든 생활의 지향점으로 삼는 현대인의 삶이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과도한 소비문화로 이어지는 현대인의 욕망구조를 고찰하기 위해 진행된 작품 논문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인간의 욕망이 소비로 이어지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고찰 하고, 소비문화를 상징화 하는 쇼케이스에 담겨진 의미와 새로운 차이를 만들어내는 웰빙 문화를 비판적 시각으로 분석하는 방식을 전개하였다. 또한 실제적으로 위와 같은 이론이 적용된 작품으로 본인의 작품 'Well-buying Shop 1'을 선택하여 영상의 구성방법과 기법에 있어서 컨셉 구현 방법을 중점적으로 분석해 볼 것 이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쇼케이스라는 상징물은 소비문화와 소유 욕망의 실험실을 대변하고 있으며, 웰빙 농장에서 길러지는 동물캐릭터를 중심으로 하여 3분 50초 동안 영상이 전개된다. 컷 아웃 애니메이팅 과정을 통하여 생명력이 부여된 작품 속의 동물 캐릭터들은 롱테이크 방식과 음율적 편집 방식으로 완성되어 관람객과 영상사이의 자연스러운 몰입이 시도된다. 또한 캐릭터와 배경이미지는 석판화기법으로 제작되어, 압력에 의해 표현되는 회화적 밀도와 색채의 다양성을 시도하였다. 위와 같은 작품을 근간으로 하여 진행된 본 연구는 진정한 건강한 삶은 무엇이며, 올바른 소비문화가 무엇인지를 뒤돌아보는 장을 마련하는 동시에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제작 기법으로서 흔하지 않은 석판화의 다양한 색채와 표현기법을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