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YAG LASER-TREATED ENAMEL FOR PIT AND FISSURE SEALANT: A COMPARISON OF MICROLEAKAGE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법랑질 표면처리 후 치면열구전색재의 미세누출에 관한 평가

  • Lee, Seon-Su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age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age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age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이선숙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It is introduced that pit and fissure sealant is the most universal and effective to prevent occlusal dental caries. In processing of being applied the pit and fissure sealant, the various kinds of methods are developed to remove organic matters, plaque, microflora and debris in the pit and fissure for increasing the rates of maintain the sealant. Recently, the Er:YAG laser has been used as a new enamel surface treatment metho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compared whether that enamel surface treatment method is superior to other methods or not. 1. 100mJ 5Hz Er:YAG lased enamel surface was similar to acid-etched enamel in SEM evaluation. 2, Mechanical preparation showed decreased microleakage when compared with acid-etching on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method. 3. After laser and acid-etching method showed decreased microleakage when compared with acid-etching only.

교합면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이면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치면열구전색술이 소개되었다. 치면열구전색재의 도포시 열구내 유기물, 치태, 법랑질 잔사 등을 제거하여 전색재의 유지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최근 Er:YAG 레이저가 새로운 법랑질 표면처리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는데 이것이 기존의 다른 방법들과 비교하여 더 나은 결과를 보이는지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 Er:YAG 레이저 조사시 산부식과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조사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법랑질 표면처리방법으로 전통적인 산부식 방법만을 시행한 경우(1군), 기계적 삭제방법인 열구성형술(Fissurotomy)을 시행한 경우(2군), Er:YAG 레이저만 조사한 경우(3군), Er:YAG 레이저 조사 후 산부식을 시행(4군)한 경우로 나누어 전색재를 도포하고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사전자현미경사진에서 100mJ, 5Hz Er :YAG 레이저로 조사시 산부식과 유사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기계적 삭제방법이 산부식만 시행한 경우에 비해 더 낮은 미세 누출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p<0.05). 3. 산부식을 시행한 경우보다 레이저를 조사한 후 산부식을 시행한 경우가 더 낮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