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현대 음식 소비현상의 소비문화적 의미에 관한 연구

The Modern Food Consumption Phenomena and It's Meaning in Context of Consumption Culture

  • 손상희 (대전대학교 응용산업대학 아동벤처산업학과)
  • Sohn, Sang-Hee (Dept. of Venture Business for Children, Daejeon University)
  • 발행 : 2006.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urrent food consumption phenomena in the context of Korea's consumption culture and economy. For this purpose, food consumption phenomena and the underlying meaning of consumption culture were investigated. The study indicated that current food consumption phenomena were characterized by increased eating habits away from home, consuming more fast food and processed foods, westernized diet, eager for taste, and overwhelming well-being products, which could result in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as malign physical and mental defects. It was argued that current food consumption phenomena had been mainly affected by the commercial food industry and consumers' cultural considerat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d several approaches to motivate consumers' awareness and how to change their food consumption culture, and further government policy effor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종구, 박성용. 1997. 소비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pp 26-30
  2. 다음을 지키는 사람들. 2004. 차라리 아이를 굶겨라 2. 서울: 시공사. pp 144-153
  3. 삼성경제연구소. 2005. 웰빙 문화의 등장과 향후 전망. pp 19-20
  4. 삼성경제연구소. 2003. 한국음식의 상품화. 국제화 전략. pp 1-3
  5. 안병수. 2005. 과자, 내아이를 해치는 달콤한 유혹. 서울: 국일 미디어. pp261-300
  6. 오세영. 1993. 생물학적, 문화적 측면에서 본 한국인의 식생활 행동: 지난 50년을 중심으로, Korean J. Dietary Culture, 8(4):373-380
  7. 우석훈. 2005. 음식국부론. 서울:생각의 나무. pp 125-167
  8. 이정덕. 1995. 세계화와 한국인의 소비문화. 한국의 사회와 문화. 23:221-256
  9. 이종임. 2004. 식탁 위의 혁명. 서울:시공사. pp 152-157
  10. 이진아. 2001. 자본주의 세계화와 현대 음식문화. 환경과 생명. 30: 83-98
  11. 임형백. 2004. 생명공학, GMOs와 사회에 대한 환경사회학적 의미: GMOs의 사회상. Biosafety, 5(2):7-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12. 조은정. 2002. 한국이 15명의 시장이라면: 한국인 소비트랜드의 해석과 전망. 서울: 지식공작소. pp 254-258
  13. 조재빈. 2006. 10대 청소년 식품첨가물 위험에 노출!. 소비자시대. 2:14-15
  14. 함인희, 이동원, 박선웅. 2001. 중산층의 정체성과 소비문화.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80집. 서울: 집문당. P99-110
  15. 경향신문. 2005.12.24. 음식물 남기지않기 캠페인 전파 오정숙씨 '그릇 닦아 먹는 것도 나눔'
  16. 세계일보. 2005.9.8. '최고의 멋진 식탁'을 불우이웃에/성공회 푸드뱅크 본부장 김산승 신부
  17. 오마이뉴스. 2006.2.1.아웃백이 유독 한국에서만 잘 나가는 이유
  18. 조선일보. 2005.4.22. 食貪(식탐)사회, 食貪(식탐)시대
  19. 조선일보. 2005.11.9. 어! 이 식당이 대기업서 운영하는거야?
  20. 파이낸셜뉴스. 2005.12.20. '지상파 TV 웰빙프로 맛집소개 편중' 방송진흥원
  21. 한겨레21. 2004.5.6. 안티패스트푸드 '다음을 지키는 사람들'
  22. 한겨레21. 2001.9.13. 패스트푸드?슬로푸드!
  23. Kim CH. 2003. Merchandising strategy for food processing enterprise adopting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rocessed food market. 식품유통연구, 20(2):1-21
  24. Kim KO. 1994. Cultural consumption of food in contemporary Korea: An Anthropological overview. 한국문화인류학, 26: 7-50
  25. McCracken G. 이상률 역 1996. Culture and consumption. 서울:문예출판사. pp 173-198
  26. Rifkin J. 신현승 역 2002. Beyond beef. 서울.시공사. pp 311-344
  27. Sohn SH. 1997. Consumption society and the consumption culture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5(4): 341-353
  28. Sohn SH. 2005. Housing, life, and consumption: A study on the housing consumption culture in consumption society.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8(4): 163-183
  29. Song IS. 2002. A review and outlook of researches on consumption cultur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2): 39-56
  30. Strong R. 강주헌 역 2005. Feast. 서울:넥서스BOOKS. pp 40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