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궤요약심전" 습병조문(濕病條文)에 대한 연구

  • 이선란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 김성환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 이용범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통과분석(通過分析) ${\ulcorner}$금궤요약심전${\lrcorner}$ 습병조문중우재경적주석(濕病條文中尤在涇的注釋),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습사감인(濕邪感人), 시우태양이류인관절(始于太陽而流人關節), 평일사덕불급지인(平日士德不及之人), 역감습사(易感濕邪), 습병(濕病), 무한부작(無寒不作), 여경병비풍불성(如涇病非風不成), 습병지표증시신번동(濕病之表證是身煩疼), 관절동번(關節疼煩); 이증시소변불리(裏證是小便不利), 대변반쾌(大便反快), 습황유우습사외성이기양내울발생(濕黃由于濕邪外盛而其陽內鬱發生). 표증오하발생적홰, 포만(胞滿), 소변불리등증원인시양기내울(小便不利等證原因是陽氣內鬱). 발열(發熱), 일포소극(日哺所劇), 불시여폐양명유관(不是與肺陽明有關), 이시여풍유휴작유관련(而是與風有休作有關聯). 치료외습증적발한법시징징발한(治療外習證的發汗法是徵徵發汗), 불시과도발한(不是過度發汗), 여과발한과도(如果發汗過度), 근거풍사이습사상존(僅去風邪而濕邪尙存). 약풍습재표(若風濕在表), 가이용마황가출탕(可以用痲黃加朮湯), 마황행인의이감초탕이발한(痲黃杏仁薏苡甘草湯以發汗), 약이한출이표허(若已汗出而表虛), 가이용방기황기탕이실표행습, 약표허무열(若表虛無熱), 불가발탕(不可發湯), 소이용계지부자탕이온경산습(所以用桂枝附子湯以溫經散濕), 혹용백출부자탕이보탕행습(或用白朮附子湯以補湯行濕), 약표이지탕구허(若表裏之湯俱虛), 가이용감초부자탕이포중겸발산(可以用甘草附子湯以補中兼發散).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