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s Using Hamstring Tendon Autograft and Tibialis Tendon Allograft

자가 슬괵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 Song, Eun-Kyoo (Center for Joint Diseas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
  • Seon, Jong-Keun (Center for Joint Diseas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
  • Bae, Bong-Hyun (Center for Joint Diseas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
  • Park, Sang-Jin (Center for Joint Diseas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
  • Kim, Jong-Seon (Center for Joint Diseas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
  • Lee, Dam-Seon (Center for Joint Diseas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wasun Hospital)
  • 송은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화순병원 관절센터) ;
  • 선종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화순병원 관절센터) ;
  • 배봉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화순병원 관절센터) ;
  • 박상진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화순병원 관절센터) ;
  • 김종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화순병원 관절센터) ;
  • 이담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화순병원 관절센터)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autograft and tibialis tendon allograf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our ACL reconstructions using hamstring autograft and 30 using tibialis anterior tendon altograft were followed up at least 1 year. We performed femoral tunnel fixation with Ligament Anchor(LA) screw and tibial tunnel fixation with biodegradable interference screw. Evaluations included Lysholm knee(LK) score, Tegner activity scale,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Quardriceps atrophy, incision site numbness, anterior knee pain and instrumented anterior laxity with $Telos^{(R)}$ device. Results: Preoperativ mean LK score was $60.3(18{\sim}82)$ in autograft group and 61.2(25-80) in allograft group. Mean LK score improved to $91.6(68{\sim}100)\;and\;92.6(77{\sim}100)$ respectively. Activity level, using Tegner activity scale, sligh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Preinjury state in both groups.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Quadriceps atrophy, anterior knee pain, incision site numbness, and anterior drawer test using $Telos^{(R)}$ devi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Conclusion: In performing the ACL reconstru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amstring autograft group and tibilis anterior allograft group in clinical or in radiological results.

목적: 자가 슬괵건과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자가건 24예 및 동종건 30예를 이용하여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총 5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기준으로 Lysholm Knee 점수, Tegner activity 점수, Lachman 검사, Pivot-Shift 검사, 대퇴 사두근 위축, 절개부위 감각이상 및 전방 슬관절 통증 등을 평가 하였으며, 방사선학적 평가로 $Telos^{(R)}$ 기기를 이용하여 전방 전위 정도를 비교 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Lvsholm Knee점수는 자가건 군에서 91.6점 $(68{\sim}100)$. 동종건 군에서 92.6점 $(77{\sim}100)$으로 향상되었고, Tegner activity 점수는 두 군 모두 수상 전에 비해 경도의 감소가 있었으나,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Lachman 검사, Pivot-Shift검사, 대퇴사두근 위축, 절개부위 감각이상 및 전방 슬관절 통증 및 $Telos^{(R)}$기기를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에서도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가 슬괵건 및 동종 경골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