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구저궤도 고정밀 관측위성 구조 및 열 개발모델 설계/해석

The Design/Analysis of High Resolution LEO EO Satellite STM

  • 발행 : 2005.08.01

초록

인공위성에서 구조체의 역할은 발사환경 및 궤도상의 모든 발생 가능한 환경에서 위성체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인공위성의 개발단계에서 구조 및 열 개발모델은 유한요소모델 보정 및 구조강도/특성 확인 등의 구조적인 특징과 열평형시험을 통한 열적 안정성의 확인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실제 비행모델의 개발 시 구조 및 열적 안정성 검증 등의 중요한 자료로써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밀 지구관측위성의 구조 및 열 개발모델에 대해 구조 관점에서의 설계/해석에 대해 기술하고 또한 모달 시험을 통한 시험결과와 유한요소해석과의 비교에 대해 기술한다.

The major role of a spacecraft structure is to keep and support the spacecraft safely in all the launch environment, on-orbit condition and during ground-transportation and handling. In a satellite development, a structural and thermal model (STM) is developed for two goals ; demonstration of a structural and a thermal stability. In the structure point of view, STM is used to verify the static/dynamic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in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In this paper, the structure design/analysis of high resolution LEO earth observation satellite STM is described. Also, a low level sine vibration test is performed and compared to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Thomas P. Sarafin(ed.), Spacecraft Structures and Mechanisms, Space Technology Library, 1995
  2. Wiley J. Larson and James R. Wertz, Space Mission Analysis and Design, Space Technology Library, 1992
  3. 김진희, 김성훈, 황도순, 이주훈, '다목적실용위성 구조개발모델 설계/해석',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28권 제5호, 2000. pp. 133-140
  4. 김진희, 김성훈, 이주훈, 황도순, 문홍렬, '지구저궤도 관측위성 개발모델 설계 및 해석'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휘닉스파크, pp. 592-595, 2002
  5. KOMPSAT-2 Critical Design Audit, 2002
  6. 김진희, 김성훈, 황도순, 이주훈, '다목적실용위성 2호 STM dummy mass 설계요구조건', KARI-SB-TN-2001-006, 2001
  7. MSC/NASTRAN Quick reference guide version 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