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Around Knee - by Intralesional Excision Using High Speed Burr and Methylmethacrylate -

슬관절 주변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 고속 바(High-Speed Burr)와 골 시멘트를 이용한 병소 내 절제술 -

  • Park, Jong-Hoo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Lee, Soo-Y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Jeon, Dae-Geu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Cho, Wan-Hy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Song, Won-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Kim, Jin-Wo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Koh, Han-Sa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Purpose :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are the common sites affected by giant cell tumor of bone. There are a variety of treatment modality including wide excision and intralesional curettage. We evaluated the local recurrence rates and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scores of giant cell tumors around knee joint and investigated the identification of possible prognostic factors for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41 patients pathologically confirmed as giant cell tumors around knee joint that have undergone intralesional curettage using high-speed burr and methylmethacrylate. We evaluated the recurrence rate and post-surgical functional score and possible prognostic factors for recurrence, such as, gender, age, tumor location, size, subchondral invasion, intra-articular invasion and the Campanacci Grades. Mean follow up period was 50 (12-122) months. Results: The recurrence rate was 17% and mean recurrence onset was 10 months postoperatively. According to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functional evaluation system, the average score was 27.8(93%) and 78% had excellent function. According to our study, suspected prognostic factors revealed not significant for recurrence. Conclusion: We found no significant recurrence related factors. Intralesional excision with high-sped burring and PMMA provides a low recurrence rate, similar to others in the literature, and good functional scores.

목적: 거대세포종은 대부분 대퇴골 원위부 및 경골 근위부에 주로 발생하며, 병소 내 소파술에서 광범위 절제술까지 다양한 수술 방법들이 시행되고있다. 저자들은 수술이 어렵고 재발율이 높은 슬관절 부위의 거대세포종 환자에서 재발율을 포함한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 재발율과 관련된 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병리학적으로 확진 되고, 고속 바(high-speed burring)와 골 시멘트를 이용한 병소내 소파술을 시행 한 41예의 슬관절 주위 거대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재발율과 기능적 평가를 통한 치료 성적을 분석하였으며, 성별, 연령, 종양의 위치, 크기, 연골 하골의 침범과 관절 내 침범 유무 그리고 Campanacci 분류에 따른 인자들과 재발율과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0(12~122) 개월이었다. 결과: 최종 추시 상 재발율은 17%였고, 재발시기는 평균 술 후 10개월이었다.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Grading System에 의한 술 후의 기능 평가점수는 평균 27.8(93%)로 78%에서 만족스러운 기능을 보였다. 성별, 연령, 종양의 위치, 크기, 연골 하침범, 관절 내 침범, Campanacci 분류 등은 종양의 국소 재발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슬관절 주변 거대세포종의 재발과 관련된 인자를 찾지는 못하였다. 수술적 치료로서 고속 바를 이용한 세심한 소파술과 골시멘트 충진술을 이용한 국소 절제술 만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 및 재발율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