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VE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COMPOMERS

컴포머에 대한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 Jeong, Song-Ra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im,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Song, Ho-Jun (Department of Dental Material,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정송란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송호준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재료학교실.치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bond strengths of compomers to composite resin, composite Z250, and two polyacid modified composite resin, Dyract AP and F2000,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using universal testing machine for measuring the shear bond strengths. Additionally, the failure modes were examined by observing the fractured surfaces of each specim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hear bond strength of Dyract AP to Z250 were higher than those of F2000,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group 3(p>0.05), and groups using fresh compomers showed higher bond strength than those using aged compomers(p<0.05). 2. After measuring the shear bond strength of each group, it was highest in group 5 and was lowest in group 9(p<0.05). 3.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groups treated with thermocycling showed lower bond strengths than those of non-thermocycling groups. 4. Overall compomer/composite resin failures were adhesive. Cohesive failures occurred mainly in groups using bonding ag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application of a bonding agent on fresh polyacid-modified resin composite increases the bond strength between polyacid-modified resin composite and composite resin. Additionally, the surface of aged polyacid-modified resin composite has to be roughened mechanically and a bonding agent ha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mposite resin.

컴포머(compomer) 충전물이 파절될 경우 즉, 컴포머 수복이 실패했을 때 기존 컴포머의 파절된 부분(aged compomer)을 복합레진으로 수복해야 하는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컴포머의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수리(repair)를 위한 복합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개의 mold를 만들어서 Dyract AP, F2000를 컴포머 수복재료로, Z250을 수리용 복합레진 재료로 사용하여 컴포머와 레진을 부착시킨 시편을 제작하였다. 컴포머와 복합레진의 종류 조합, 본딩레진 사용유무, 열순환 처리 유무, 표면거칠기 부여 유무, 기존 수복물의 시효(aging)에 따라 10개의 군으로 나누어, 컴포머와 복합레진간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그 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컴포머의 복합레진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Dyract AP가 F2000 보다는 높은 전단강도 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05), fresh 컴포머군이 aged 컴포머군보다 결합강도가 높았다(p<0.05). 2. 각 군간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Dyract AP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Z250을 접착시킨 제 5군이 가장 높았으며, Dyract AP를 충전하고 1주일간 물에 보관한 후 건조시켜 표면을 roughening 한 후 Z250을 충전시킨 제 9군에서 가장 낮았다(p<0.05). 3. 열순환을 시행한 군이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전단결합강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각 재료들의 결합실패가 일어난 파절단면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전반적으로 접착파괴를 보였으나, 접착제를 도포한 군에서는 응집파괴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fresh 컴포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수리용 복합레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컴포머와 복합레진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fresh 컴포머 위에 복합레진을 즉시 충전한 경우가 높은 결합력을 얻을 수 있었다. Aged 컴포머와 복합레진간의 성공적인 결합력을 얻으려면 aged 컴포머의 표면을 mechanically roughening하고 접착제를 도포한후 복합레진을 충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