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bilizing Effect of Piles against Sliding

사면에 설치된 억지말뚝의 활동억지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 Hong Won-Pyo (Dept. of Civil & Environ. Engrg., Chung-Ang Univ.) ;
  • Song Young-Suk (Geo. & Environ. Hazards Div., Korea Inst. Geo. & Mineral Res.)
  • 홍원표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Published : 2005.02.0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bilizing effect of piles against sliding, a series of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The model apparatus was designed to perform the model test of slope reinforced by stabilizing piles. The instrumentation system was used to measure the deflection of stabilizing piles during slope failure. The stabilizing effect of the piles in a row with some interval ratio is larger than the isolated pile without interval ratio. Because the prevention force of piles in a row increased due to the soil arching effect between piles during slope failure. Especially, the maximum value of prevention ratio was presented at 0.5 of interval ratio. If the required prevention ratio is 1.1, the interval ratio must be installed from 0.5 to 0.8. Also, the stabilizing effect of piles against sliding is excellent at the interval ratio between 0.5 and 0.8. This value can be proposed as the criterion of the interval ratio between piles against slope failure.

억지말뚝의 활동억지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련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억지말뚝이 설치된 사면에 대한 모형실험장치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모형실험시 각종 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면활동에 따른 억지말뚝의 변형거동을 조사하였다. 모형실험결과 말뚝간격비가 1인 단독말뚝의 경우보다 일정한 간격비를 가진 줄말뚝에서 사면활동에 대한 억지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면활동시 말뚝과 말뚝사이의 지반아칭효과로 인하여 사면활동에 대한 억지말뚝의 저항효과가 증가하게 된다. 억지말뚝의 간격비가 작아질수록 사면활동에 대한 억지율은 증가하며, 간격비가 0.5일 때 사면활동에 대한 억지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억지말뚝의 소요억지율을 1.1로 하면 말뚝간격비는 $0.5{\sim}0.8$ 사이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억지말뚝의 간격비가 $0.5{\sim}0.8$일 경우 억지말뚝이 휨응력을 크게 받으므로 억지말뚝의 사면활동에 대한 저항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면활동에 저항하기 위한 합리적인 억지말뚝의 간격비는 $0.5{\sim}0.8$로 제안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영석 (2004), 활동억지시스템으로 보강된 사연의 설계법, 중앙 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17-327
  2. 이상덕 (1996), 토질시험 - 원리와 방법 -, 새론, pp.267-278
  3. 홍원표 (1984a), '측방변형지반속의 줄말뚝에 작용하는 토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4권, 제1호, pp.59-68
  4. 홍원표 (1984b), '수동말뚝에 작용하는 측방토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4권, 제2호, pp.77-88
  5. 홍원표 (1991), '말뚝을 사용한 산사태 억지공법', 한국지반공학회지, 제7권, 제4호, pp.75-87
  6. 홍원표, 송영석 (2004), '측방변형속 줄말뚝에 작용하는 토압의 산정법',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0권, 제3호, pp.13-22
  7. 홍원표, 한중근, 송영석, 신도순 (2003), '대절토사면에 보강된 억지말뚝의 활동억지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사면 안정학술발표회 논문집, pp.65-81
  8. 홍원표, 한중근, 이문구 (1995), '억지말뚝으로 보강된 절개사면의 거동. 한국지반공학회지, 제11권, 제4호, pp.111-124
  9. De Beer, E. and Wallays, M. (1970), 'Stabilization of slope in schist by means of board piles reinforced with steel beams', Proc. 2nd International Congress Rock Mechanics, Belgrade, Vol.3, pp.361-369
  10. Ergun, M. U. (2000), 'Stabilization of landslides using piles', Proc. of 8th ISL,Cardiff, pp.513-518
  11. Hong, W.P. and Park, N.S. (2000), 'A design of slope stabilization using piles; A case study on the slopes of Hwangryungmountain in Pusan, Korea', Proc. of 8th ISL, Cardiff, pp.725-730
  12. Ito, T., Matsui, T. and Hong, W. P. (1981), 'Design method for stabilizing piles against landslide-one row of piles', Soils and Foundations, Vol.21, No.1, pp.21-37
  13. Ito, T., Matsui, T. and Hong, W. P. (1982), 'Extended design method for multi-row stabilizing piles against landslides', Soils and Foundations, Vol.22, No.1, pp.1-13
  14. Matsui, T., Hong, W. P. and Ito, T. (1982), 'Earth pressure on piles in a row due to lateral soil movements', Soils and Foundations, Vol.22, No.2, pp.71-81
  15. Popescu, M. E. (1991), 'Landslide control by means of a row of piles', Slope Stability Engineering, London, pp.389-394
  16. Schuster, R. L. (1992), 'Keynote paper: Recent advances in slope stabilization', Proc. of 6th ISL. Christchurch, New Zealand, pp.1715-1745
  17. Viggiani, C. (1981), 'Ultimate lateral load on piles used to stabilize landslides', Proc. of 10th ICSMFE, Stockholm, Vol.3, pp.555-560
  18. Winter, H., Schwarz, W. and Gudehus, G. (1983), 'Stabilization of clay slopes by piles', Proc. of 8th European Conf. on SMFE, Helsinki, pp.545-550
  19. 木村 亮(1993), 水平力を受ける群抗の擧動に闘する基礎的 研究, 京部大型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p.188・196
  20. 福本安正 (1976), '地スベリ防止グイの擧動について', 土質工學曾論文報告集, Vol.16, No.2, pp.91-103